이달의 법문/ 서웅 큰스님

참사람 ☞▷

정각도량/ 이도업 스님

중국 오대산 문수 성지를 찾아서 ☞▷

수행의 길/ 이법산 스님

미륵 기도☞▷

고승의 향기/ 정승석

구마라집과 묘법연화경☞▷

경전의 말씀 / 우제선

마음은 화가☞▷▷

일주문 / 정수스님

연화장☞▷

불심의 창/ 이상병

마음공부☞▷

정각논단/ 양승규

불탑 신앙의 전개 ☞▷

인터넷의 세계 불교/ 강민수

사이버 여행에서 만나는 불교문화 ☞▷

세계 문화 유산/ 한용수

중국의 대족 석각  ☞▷

열린마당/ 류승완

붓다는 여성 차별주의자였는가  ☞▷

詩心佛心/ 이임수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

신간 안내/ 편집부

한국불교융통사  ☞▷

교계소식 ☞▷

동국동정 ☞▷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伽)
이임수 / 인문과학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무릎을 조아리며
두 손바닥 모아
천수관음(千手觀音) 앞에
빌어 사뢰옵니다.
즈믄 손의 즈믄 눈을
하나를 놓고 하나를 덜어
둘 없는 내라
하나야 가만히 고쳐주소서
아아, 내게 끼쳐 주신다면
놓되 쓰올 자비여 큰고.

신라 제 35대 경덕왕 시절, 한기리에 희명이란 여인이 살았다. 그녀에게는 아이가 하나 있었는데 5살이 되자 갑자기 눈이 멀어 앞을 보지 못했다. 어느 날 희명은 아이를 안고 분황사 왼쪽 전각의 북쪽 벽화인 천수대비(千手大悲) 앞에 나아가 간절히 기도했다.

“무릎을 조아리며 두 손바닥을 모아 관세음보살께 비옵니다. 천 개 손의 천 개 눈 중, 하나를 손에서 놓고 하나를 덜어 둘 없는 내게 가만히 고쳐주소서. 아아, 내게 끼쳐 주신다면 하나를 손에서 놓으시되 그 쓸 자비는 얼마나 클까.”하는 여인과 눈 먼 아이의 간절한 기도의 노래이다.

관세음보살은 다른 이름으로 천수천안보살, 천수관음보살, 대자대비보살 등으로도 부르는데 이는 인간 세상에 가장 자비로움을 베푸는 보살로,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을 가져 눈으로 보지 못하는 것이 없고 손으로 구원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관세음(觀世音)이라 하여 세상의 모든 것을 보고 모든 소리를 들을 수 있음을 말한다.

지금 경주 분황사의 왼쪽 전각이 없어져 그 관음보살벽화를 볼 수 없으나 다른 사찰의 많은 관음보살탱화에서 천수천안을 찾을 수 있다. 관음보살상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천 개의 손바닥 안에 눈을 하나씩 그려 천 개의 눈을 그리고 있다. 현재 불국사의 관음전은 가장 높은 곳, 가파른 계단 위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도 멀리 인간세상을 굽어보고 보살펴 달라는 인간들의 염원 때문인지도 모른다.

기도를 마치자 눈먼 아이가 광명을 얻었다니 더 없이 기쁜 일이다. 학자들은 맹아득안가(盲兒得眼歌, 눈밝  노래)라고도 하는데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선사는 이렇게 찬(讚)했다.

대나무 말 타고 풀피리 불며 놀던 아이/ 어느 날 갑자기 두 눈이 멀었네/ 보살께서 자비의 눈 주시지 않았다면/ 버들 꽃 날리는 봄도 얼마나 헛되리.

(竹馬追笙戱陌塵 一朝雙碧失瞳人 不因大士廻慈眼 虛度楊花幾社春)

 

 | 표지 |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