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법문/ 혜남 스님

계율의 정신에서 본 삼귀의 와 오계☞▷

詩心佛心/ 강석근

천수사에서 우연히 회문시를 쓰다☞▷

정각도량/ 이법산 스님

몸과 말의 가치☞▷

특집/ 김재성

사띠의 의미와 적용☞▷

특집/ 임승택

사띠의 의미와 쓰임☞▷

특집/ 조준호

사띠는 수동적 주의 집중☞▷

특별법문/ 법정 스님

자연만이 탐욕스런 문명의 해독제☞▷

수행의 길/ 김호귀

선(禪)의 입장☞▷

부처님의 전생이야기/ 안양규

둥근 달속에토끼가 보이는 이유☞▷

세계의 불교문화유산 / 정승석

동인도의 우다야기리와 랄리타기리☞▷▷

열린마당/ 이경일

내가 생각하는 종교☞▷

인터넷의 불교/ 이재형

사이버에서 道를 구하다 ☞▷

일주문/ 양관스님

희망☞▷

신간안내 / 편집부

행복한 삶 행복한 죽음☞▷

교계소식   ☞▷

동국동정 ☞▷




불입상

 

인도 불교조각의 백미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불입상은 우리나라 통일신라 시대

불상조각에도 영향을 미쳤을 만큼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직립한 불상은 매우 정적인 분위기를 감돌게 하지만,

팽팽하게 당겨진 듯한 표면의 처리는

강한 긴장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극도로 절제된 옷자락의 표현은

인체의 팽팽한 긴장감을 강조하면서

매우 유려한 탄력을 지닌 선으로

물 흐르듯 규칙적으로 표현되었으나,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미묘한 변화를 보이고 있어

전혀 단조롭지 않다.

이러한 절제와 더불어 한껏 멋을 부린 광배는

자연스런 연잎과 줄기의 역동성을

더불어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 불상은 매우 정적이면서도

미묘한 움직임을 통해 말없이 설법을 전하고 있는

부처님의 모습을 이상적으로

형상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인도 굽타시대, 마투라 자말푸르 출토, 5세기전반)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