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법문/ 청화 큰 스님

세상사 바쁠수록 혼자서 명상을☞▷

정각도량/ 최법혜 스님

불교 신도가 받는 재가 오계(五戒)☞▷

경전의 말씀/ 최종석 스님

옷과 깨달음의 길☞▷

詩心佛心/ 강석근

둥근 부채의 노래☞▷

수행의 길 / 이법산 스님

금강경 독송 기도☞▷▷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 / 안양규

술의 기원과 음주의 해악☞▷

불심의 창/ 무구 스님

선입견에서 오는 일상의 오해☞▷

일주문/ 법념스님

길가에 풀 한 포기 ☞▷

인터넷의 불교/ 김성철

재가 불자들의 사이버 신행과 포교☞▷

정각논단/ 이철헌

청년포교☞▷

열린 마당

삶 속의불교/불교학생회 ☞▷

아이들의 동심과 함께하는 불심/이은영 ☞▷

세계 문화 유산/ 김미숙

티베트의 포탈라 궁전☞▷

교계소식   ☞▷

동국동정 ☞▷




진관사 석조불좌상.

애기부처라고도 불리우는 이러한 형태의 불상은
극도의 단순함을 통해 친근하면서도
엄숙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살이 한껏 부풀어 오른 얼굴은 그야말로
천진한 어린아이의 모습이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엄격함이 흐르고 있다.

동글동글하고 작은 어깨지만 두툼하고 강직한
두 손을 통해 단호하고 엄격한 성격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간략화된 옷주름도 부드럽지만
그 선이 굵고 강건하다.
구도 면에서도 대칭을 이루는 단정한 삼각형의
구도를 이루고 있어 매우 차분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이렇듯 친근하면서도 강건한 양식이야말로
조선시대에 이루어낸
조각양식의 발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서울, 진관사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