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법문/ 틱낫한 스님

걷기 명상수행☞▷

정각도량/ 이법산 스님

침략에 대한 부처님 말씀☞▷

경전의 말씀/ 정승석

정치인의 윤리 의식☞▷

詩心佛心/ 강석근

화정에 사시던 선자스님을 그리며 ☞▷

수행의 길 / 구태희

화목은 나의 수행이자 원행☞▷▷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 / 안양규

뱃사공의 어리석음☞▷

특집/ 선재들의 발원문

수행의 첫걸음 / 도봉순☞▷

선재들과 함께 보내는 삶 / 이석언☞▷

일주문/ 정산스님

보살로 살자 ☞▷

불심의 창/ 이영진

가슴에 내린 촉촉한 비 ☞▷

인터넷의 세계 불교/ 박성환

요리를 통한 수행, 일본의 정진요리☞▷

열린 마당/ 최광호

나의 작은 수행 이야기 ☞▷

세계 문화 유산/ 이자랑

닛코(日光)의 사당과 사원☞▷

신간 안내/ 편집부

간다라 미술 ☞▷

교계소식   ☞▷

동국동정 ☞▷

 




보림사(寶林寺)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遮那佛坐像)

이 거대한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매우 도식화되기는 하였으나,
그 도식화는 철이라는
재료에 걸맞는 육중하고 괴량감 있는
위용을 드러내는데
오히려 적합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높게 도드라진 옷자락은 때로는 산처럼 때로는
바다의 파도처럼 출렁거리는 듯하다.

철조의 특성상 제작할 때 나타나는 주조선 조차도
그로테스크한 면모를 강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얼굴은 자비의 모습보다는
단호하고 엄격한 모습을강조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만큼 혼란한 사회를 살았던
사람들이 강력한 그 무엇에 의존하고자 했던
염원을 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전 통일신라시대의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던 것으로부터,
현실적이고 파격적인 아름다움으로
미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었음을 보여주는
통일신라말기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전남 장흥
높이 2.51m
통일신라 858년
국보 117호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