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법문/ 도영 큰스님

더불어 살아가는 길 ☞▷

정각도량/ 이법산 스님

불교병원 ☞▷

특집/민족화합과 불교

탈북자 문제와 불교 /고유환☞▷

제대로 된 선택을 하자 /윤세원☞▷

경전의 말씀/ 전해주 스님

육근청정☞▷

수행의 길 / 김재성

수행이란 무엇인가☞▷▷

불심의 창 / 곽대경

어머니의 불상☞▷

세계문화유산/ 신성현

깨침의 땅, 보드가야☞▷

인터넷의 세계 불교/ 김성철

평화를 호소하는 불교인의 목소리 ☞▷

일주문/ 법념스님

달력이야기 ☞▷

詩心佛心/ 이임수

제망매가(祭亡妹歌), 누이노래 ☞▷

열린마당/ 최진재

불교와의 인연 ☞▷

교계소식 ☞▷

동국동정 ☞▷

 
더불어 살아가는 삶
도영 큰스님/ 조계종 포교원장

부처님께서는 마음을 허공과 같이 깨끗이 하여 모든 번뇌망상을 여의고, 걸림이 없는 그런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불교는 바로 마음을 깨쳐 부처를 이루자는 종교죠. 또한 본래 청정했던 자기 마음를 찾기 운동이 불교입니다.

불교는 본래 청정했던 마음을 되찾아 가지고 필경에는 성불하자는 게 목적이 되고, 믿음과 수행을 함께 해서 깨달음을 증득해야 한다고 권하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이를 아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수행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수행은 어떤 방법으로 해야 될 것인지, 불자가 가져야 될 마음자세를 제가 몇 가지 간추려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우리는 자신감을 가져야 됩니다. 『열반경』에서 얘기했듯이 모든 생명체를 가진 자는 ‘불성(佛性)’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안에 본래 청정했던 불성, 자성자리를 항상 개발하는데 힘써야 된다는 것이죠. 더군다나 모든 축생들, 그 작고 미미한 생명체까지도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데 하물며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은 더 말할 것도 없겠죠. 그래서 내 마음의 불성을 확실히 믿는 그런 자신감을 가져야 됩니다.

두 번째는 항상 주인의식을 가지고 살자고 하는 것입니다. 즉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곳, 어디에나 항상 주인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그런 삶이 되어야 합니다.

“삼계(三界)가 바로 일심(一心)이요, 만법(萬法)이 바로 일심이다.”라는 말과 상통하겠죠.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가 바로 마음 따라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항상 우리 자신들이 처해있는 곳에서 그 진실된 모습으로 돌아가야 할 것입니다.

세 번째는 ‘평상심(平常心)이 도(道)’라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생활 속에서 불교적인 삶을 살아가야 된다는 것입니다. 생활 속에서 불교적인 삶을 사는 것은 곧 불교의 연기론(緣起論)을 바탕으로 삼게 됩니다.

불교의 연기는 서로 상이 상관관계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우주는 생성하면서 이미 연기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멸하므로 저것이 멸한다는 서로의 상이 상관관계 속에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연기법은 다시 바꾸어 말한다면 인연법(因緣法)이라고 말합니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고 했듯이 인연법은 만남의 연속 속에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내가 만나는 사람마다 항상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불교적인 삶을 산다라고 말씀드립니다.

인연법은 다시 바꾸어서 얘기하면은 인과법(因果法)입니다. 원인이 있기 때문에 결과가 있다는 인과법이기에 우리는 착한 일을 하면 착한 과보를 받고, 악행을 하면 악한 과보를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런 말이 있습니다. “전생(前生)의 일을 알고싶을 땐 금생(今生)의 받는 것이 그것이요, 다음 생의 일을 알고싶을 땐 금생에 하고 있는 것이 다음 생에 받을 것이다.” 내가 전생에 무엇이었을 가라는 질문은 지금 내가 받는 것으로 알 수 있게 되고, 또 다음 생에 내가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것에는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행위가 바로 다음 생에 받을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조금만 마음을 가라앉히고 자기 자신을 돌아볼 때, 나의 삼세(三世)를 꿰뚫어 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네 번째는 청정심(淸淨心)을 가져야 된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청정심이라는 것은 계율을 청정하게 지키는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죠. 우리가 아는 재가오계(在家五戒), 십선계(十善戒), 보살계(菩薩戒) 등 여러 계법이 있지만 “마음에 거리낌없는 것이 자기 자성을 지키는 것이다.”라는 말씀처럼 적어도 우리 불자는 세 가지 속이지 않는 삶을 살아야 된다고 하겠습니다.

그 하나는 부처님을 속이지 않는 삶을 살아야 된다는 것으로 부처님께서 가르친 대로 실천하는 자가 부처님을 속이지 않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둘은 일체중생을 속이지 않는 삶을 살아야 된다는 것으로 일체중생은 나와 더불어 함께 존재하고 있는 인간들뿐만 아니라 축생들까지도 통틀어 포함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셋은 곧 자기 자신을 속이지 않는 삶이라 하겠습니다. 부처님도 속일 수 있고 다른 사람들도 속일 수 있지만은 자기 자신을 속이지 않아야 됩니다.

다섯 번 째는 용맹심(勇猛心)을 일으켜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처음에는 힘없이 떨어지는 물방울이라도 나중에는 단단한 돌을 뚫듯이 우선 우리는 끊임없이 수행 정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서 항상 용맹심을 가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헤이 해져서 오늘 잠깐 노력하다가 내일 금새 그만 두게 되어 나중에 원하는 큰 성과를 맛보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여섯 번 째는 자비를 실천하는 그런 삶을 살아야 됩니다. 그 자비는 끊임없이 중생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생각할 수 있는 그런 마음을 바탕으로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자비는 보이지 않는 곳까지도 고통받는 중생들에게 항상 베품과 나눔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우리 불교는 더불어 함께 잘살기 위한 운동이기도 합니다. 부처님께서 일찍이 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제도하라고 하셨습니다. 저희가 가지고 있는 것을 통틀어 ‘능력’이라고 하죠? 학력도 능력이요, 경제력도 능력이요, 힘도 능력이요 통틀어 능력이라고 하는데 능력 있는 자가 능력이 부족한 자를 항상 도와주어야 된다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바로 베품으로 함께 하는 그런 삶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지금 21세기에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는 삶으로 가꾸려 한다면 우선 불교의 연기사상을 바탕으로 해야 됩니다. 연기사상은 바로 인연 있는 모든 사람들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인지하고 함께 살아가는 그런 삶으로 가꾸어야 가자는 것이기 때문에 불교에서도 자원봉사 활성화를 시켜야 될 것입니다.

또한 함께 잘살기 위한 운동은 모든 갈등을 해소하고 화합의 장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지역 간의, 세대간의, 종교간의 모든 갈등을 해소하는 그런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라는 큰 대승적인 사고를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불어 함께 잘 살기 위한 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자기의 생각은 항상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고 낙관적인 삶을 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것이 항상 즐겁게 살아가는 것일까요? 자기한테 주어진 것에 대해 만족할 줄 아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집에 들어가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어 감사합니다.”, “나에게 가족이 있어 늘 감사합니다.” 와 같이 이건 이래서 좋고 저건 저래서 좋다는 생각으로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우리한테 주어진 입장에서 항상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삶으로 우리의 환경까지 맑고 청정하게 가꾸어야 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말을 할 때 두 가지, ‘설법(說法)’과 ‘침묵(沈默)’만 하라고 하셨습니다. 말을 하게 되면 꼭 부처님 말씀을 전해주는 것이 아니라고 해도 좋은 이야기, 그 사람이 들어서 격려가 되고 교훈이 되는 이야기가 모두 부처님 설법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침묵은 참선을 하든지, 경을 보든지, 기도하든지 항상 자비를 실천하는 그런 것들이 바로 자기 수행의 침묵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것이 어떤 분야에 속하든지 남 흉을 보거나 나쁜 행동을 하는 그런 것들은 부처님께서 하지 말라고 하셨으니 설법과 침묵 두 가지 중에 자기 자신에게 맞는 하나를 선택해서 열심히 해야 할 것입니다.

끝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라는 것은 바로 불교의 연기사상을 바탕으로 해서 지금 현대의 너무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생각을 버리고,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꾸준하게 노력하는 것이라 말씀드리며 귀중한 시간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 표지 |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