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호 표지

이달의 법문/ 고산 큰스님

마음의 주인이 되자 ☞▷

정각도량/ 이도업스님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

詩心佛心/ 이임수

風謠(바람결 노래)☞▷

수행의 길/ 이법산 스님

용왕(龍王) 기도☞▷▷

고승의 향기/ 정유진 스님

우두법융의 철저한 삶☞▷

경전의 말씀/ 장계환 스님

자신의 마음을 경계하라 ☞▷

인터넷 세계의 불교/ 조환기

참여 불교 ☞▷

일주문/ 지호스님

소중한 자신의 삶 ☞▷

불심의 창/ 이강식

내 서원은 문화포교사 ☞▷

정각논단/ 정병국

般若龍船 接引圖 ☞▷

세계 문화유산/ 김미숙

스리랑카의 담불라 석굴 ☞▷

열린마당

나와 붓다, 그리고 예수/ 강상우 ☞▷
중도와 양자의 역할/ 권혁주 ☞▷

신간안내/ 편집부

멋지게 살고 멋지게 가는길  ☞▷

교계소식 ☞▷

동국동정 ☞▷




나와 붓다, 기리고 예수
강상우/ 법학대학 3학년

젊은이의 자만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현대 종교들 중 믿을 만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사실 현재 종교들은 여러 면에서 그 타락의 도(度)가 극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붓다의 삶과 가르침에 대한 책을 읽다 보니, 그의 삶과 사상은 크게 존경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 큰 존경만큼 현대 불교에 대한 실망은 더욱 확고해졌다. 급기야는 ‘만일 붓다가 현세에 부활해서 현대 불교들을 둘러본다면 초전 법륜을 후회할지도 모르겠다.’라는 생각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나의 자만 아닌 자만을 철옹성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러나 붓다의 삶과 가르침 그 자체는 내 마음에 청량한 기운이 감돌게 했다. 솔직히 천주교 신자인 나로서는 조금 분하기도 했다. 너무나 실망스러운 성서의 억지에 비해서, 붓다의 사상과 설법의 자연스러움은 신선한 충격이었던 것이다. 결국 예수에 대한 붓다의 우월성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 청량한 기운은 마음 안에서 구체적인 신으로 형상화 되었다. 개인적으로, 이 세상에는 사람의 수 즉 개체 수만큼의 종교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마 같은 붓다라 할지라도 조주 선사의 붓다와 성철 스님의 붓다는 상당히 차이가 있었을 것 같다.

나는 여러 이유들로 인해 현대 종교들에 대해 부정적이다. 그러나 붓다에 관해서는 조금의 망설임 없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이라고 확언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이 결코 모순은 아니라고 본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종교적인 시각보다는, 현대인으로서, 또한 나름대로 지식인이 되고자 노력하는 한 대학생의 입장에서 여러 책들을 통해 알게 된 내가 좋아하고 존경하는 붓다에 대해 느낀 점을 말하고 싶다.

가장 먼저 느낀 점은 붓다의 생애가 예수의 삶과 너무 흡사하다는 것이었다. 탄생, 고행, 깨달음, 제자들과 함께 한 전도 등등에서 많은 유사성이 보였다. 특히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평등 사상에 입각한 자비와 그에 따른 일련의 사상들(나는 이것이 기독교와 불교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이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것들에서 나는 나름대로 객관적인 추리를 해 보았다. 붓다와 예수의 500년의 차이, 성서에서의 동방 박사, 알렉산더의 인도 침공, 인더스 강을 중심으로 한 아리얀 족의 이동, 인생의 대부분을 예루살렘 동쪽에서 보낸 예수, 이러한 사실 속에서 예루살렘과 인도의 접촉은 당연한 것으로 보였다. 곧 상당 부분에서 예수가 붓다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음은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로 다가왔다. 그리고 조금 더 생각을 확장시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의 모태는 성경이고, 성경은 붓다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음은 확실하다. 따라서 붓다는 세계의 지배자, 다시 말해 거의 모든 현대 고등 종교의 원류일 것이다. 내가 존경할 수 밖에 없는 붓다의 의의였다.

다음으로 느낀 점은 붓다는 별반 기적을 행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기적의 행적투성이인 성경의 모토는 ‘무조건 믿어라.’이다. 이에 반해 기적의 배제로 인해 붓다의 가르침의 핵심은 생각하고 깨닫기가 될 수 있었다. 얼마간의 기(氣) 수련으로 쇠붙이를 물리적인 접촉 없이 구부리는 도사들을 볼 때, 엄청난 명상을 한 붓다가 신통력이 없었다면 오히려 이상한 일일 것이다. 결국 붓다는 과감히 절대자로서의 신의 위치를 버리고(나는 이것이 크나큰 방기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사람과 같은 위치에 자리 잡았다고 보여졌다. 이러한 스스로의 낮춤은 수마(睡魔)와 싸우다 시력을 잃은 아누룻다와의 대화에서 무척 아름답게 드러난다. “내게도 공덕을 짓게 해 주게. 세간 사람들은 모두 복을 구하고 있네. 그러나 아누룻다여, 복을 구하는 세간 사람 중에 나만큼 진지하게 복을 구하는 사람은 없네.”

끝으로 수많은 붓다의 일화 중 가장 감명 깊었던 것을 소개하고 싶다. 그 일화는 붓다가 나란다 교외의 숲에서 만난 한 촌장과의 대화이다. 그 대화에서 촌부인 촌장은 붓다에게 어찌하면 천계로 갈 수 있는지를 묻는다. 답변을 통해서 붓다는 천국과 지옥, 즉 생천(生天) 사상을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바르게 사는 자는 법을 몰라도, 제사를 아니 지내도 천계로 가고, 바르지 못한 자는 최상의 기도로 살아가는 브라만이라 할 지라도 악취 지옥에 간다고 비유를 통해 설법을 한다. 굳이 자신의 사상을 강요하지 않고 무지한 촌장의 눈높이에 맞춰 바르게 살라고 얘기했던 붓다는 결코 폐쇄적인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일 내가 지금 붓다와 만날 수 있어 비상금을 털어 100%의 마음으로 삼겹살과 소주를 대접한다면, 붓다는 즐거워하며 나와 술잔을 기울일 큰 인물일 것이다.

다시금 붓다의 청량한 기운이 느껴지는 듯하다. 정말 성스러운 생애, 현대에 이르러서도 확고한 논리성을 갖추고 있는 설법, 그리고 무한한 자비의 마음, 그러나 그러한 훌륭한 스승을 갖고 있는 현대 불교의 안타까운 모습이 눈에 아른거린다.

 

붓다가 정각을 이루신 보리수(菩提樹). 그 나무는 이제 2,500년을 살았다. 하루는 그 나무 밑에 세상의 고승들이 모여 회합을 했다. 그리고 너무도 당연히 곧바로 고승들은 각자의 정통성을 주장하며 격렬한 어조로 서로를 헐뜯기 시작했다. 보리수는 조금씩 말라 죽어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고승들은 아무도 보리수의 열반을 눈치채지 못했다. 결국 고승들은 서로 화를 내며 각자의 길을 갔고, 보리수는 쓸쓸히 죽어 가고 있었다. 그 때 천진 난만한 힌두 교도 소녀가 그 보리수에 다가가 눈물을 흘려 주었다. 보리수는 다시 2,500년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인간들에게 정말 복이 많아서 다시 붓다가 세상에 나타난다면, 그 붓다는 절대로 불교도가 아닐 것이며 절대로 남자가 아닐 것 같다.

 

 | 표지 |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