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의 말씀
일체개고(一切皆苦)
정승석/ 불교대학 교수

 

“태어남도 고통이다. 늚음도 고통이다. 병도 고통이다. 죽음도 고통이다. 사랑하지 않는 자와 만나는 것도 고통이다. 사랑하는 자와 헤어지는 것도 고통이다. 온갖 바라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고통이다. 요약하여 말하면 5온(다섯 가지 집착의 요소)은 고통이다.”

초기 불교의 성전 중 율장에 나오는 이 법문은 나중에 ‘4고 8고’의 정형구로 간주되었다. 4고란 이 법문의 앞에 있는 생, 노, 병, 사의 고통을 일컫는다. 8고는 그 다음에 열거하는 넷을 4고에 추가한 것을 일컫는다. 추가된 4고를 중국에서는 원증회고(怨憎會苦), 애별리고(愛別離苦), 구불득고(求不得苦), 오음성고(五陰盛苦)로 훌륭하게 번역하였다. 이 8고는 우리가 온갖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직시하도록 유도한다. 한 마디로 말해서 우리의 삶은 고통의 연속이다.

누구나 한번쯤은 자신의 삶이 고통이라고 생각해 본 경험이 있기 마련이다. 또 무심결에 ‘인생은 고’라고 뇌아리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체로 이 같은 경험은 정말 그렇다는 확신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고통에 대한 인식이 자기 발전을 위한 경각심으로 연결된다면, 이 자체로 부처님의 그 법문은 효력을 발휘한 셈이다. 이 경우, 그 인식이 철저할수록 그 효력도 배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푸념으로 ‘인생은 고’라고 뇌아리는 데 그친다면, 자신이 처해 있는 고통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다시 고통의 세계로 빠져 들어갈 것이다.

불교에서 고통에 대한 인식을 중시한 예는 불전의 도처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우선 삼법인으로 불리는 근본 교설의 제2 법인은 ‘일체개고’, 즉 모든 것이 고통이라고 가르친다. 이 밖의 고통에 대한 모든 법문이나 교리 해설은 그 일체개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데 불과하다. 예를 들어 역시 근본 교설에 속하는 사성제의 첫째인 고성제를 “태어남도 고통이요, 늙음도 고통이요, 병도 고통이요, 죽음도 고통이요, 근심과 슬픔과 아픔과 낙담과 번민도 고통이다.”라고 설명한다. 더 나아가 후대의 불전까지 망라하면 고통의 종류는 3고로부터 11고까지 열거되고, 심지어 16고, 18고, 19고, 110고에 이르도록 다양하게 열거된다.

고통에 대한 이 같은 인식은 어느 서양 학자의 주장처럼 ‘붓다와 그 제자들의 극단적인 염세적 관념’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불교에서 말하는 고통에 대한 정의와 그 취지를 이해하면 그와 같은 주장은 설득력을 잃게 된다.

고통(고)은 우리가 받아들이는 세 가지 감각, 즉 3수(受) 중의 중의 하나이다. 3수는 고, 낙(樂), 고도 아니고 낙도 아닌 불고불락(不苦不樂)을 가리킨다. 이 중 ‘고’는 좋아하지 않은 대상을 대할 때 몸과 마음으로 느끼는 괴로움과 핍박을 가리킨다. 이에 따라 고통은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으로 나뉜다. 이 경우에 ‘고’는 육체적 고통을 가리키고, 정신적 고통은 우(憂)라고 불린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정의에 앞서, 초기의 불전에서부터 고통은 반드시 생리적인 고통이나 심리적인 고뇌를 의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기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했다. 실제로 우리가 고통으로 느낄 때, 그것은 자기의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데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수긍할 수 있다. 자기의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무언가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는 것과 같다. 이런 사실을 직시하여 『우다나』라는 불전에서는 “다른 것에 의해 압도된 것은 모두 고통이며, 자유로운 것은 모두 즐거움이다.”라고 고와 낙을 정의한다.

우리는 흔히 ‘낙’으로 불리는 즐거움이나 기쁨이 고통의 반대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즐거움이나 기쁨이 완전한 자유의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이내 극심한 허탈감이나 좌절감으로 변질되기 쉽다. 그러므로 흔히 말하는 ‘낙’도 고통으로 감수될 수 있다. 그래서 『숫타니파타』에서는 “낙일지라도 고일지라도 불고불락일지라도 내적으로든 외적으로든 감수된 것은 모두 고통”이라고 지적한다. 결국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생리적이거나 심리적인 모든 감각은 고통일 뿐이며, 이 점에서 우리는 다시 ‘일체개고’를 실감하게 된다.

삼법인은 모든 것이 고통으로 귀결되는 이유를 제행무상(諸行無常)으로 제시한다. 제행무상은 우리가 영원히 소유할 수 있는 것, 또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가르친다. 우리가 겪는 모든 고통은 이 엄연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데서 발생한다. 이 점은 『숫타니파타』에서는 “사람들은 ‘내 것’이라고 집착하기 때문에 근심한다. 소유한 것은 영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세상의 것은 오직 변멸해 가고 있을 뿐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요점은 무상한 것을 자기와 결부시켜 집착하는 데서 고통이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이제 불교에서 고통에 대한 인식을 강조하는 취지가 분명해졌다. 단적으로 말해서 그 취지는 ‘내 것’, ‘나 자신’에 대한 집착과 욕망을 버릴 때 우리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통에 대한 철저한 인식은 해탈이라는 궁극적 자유와 안온을 지향한다.

“태어나고 늙고 죽음에 의한 근심, 슬픔, 아픔, 낙담, 번민들로부터 해탈하고 고통으로부터 해탈한다고 나는 말한다.”

초기 불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위와 같은 법문이 일체개고의 취지를 함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통 개념을 단순히 염세적 관념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고통은 극복의 대상으로서 강조되는 것이지 결코 자포자기를 강요하거나 유도하는 것이 아니다.

 | 목차 |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