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법문
기도의 3단계
인환 스님/ 동국대 명예교수

보조스님은 <초발심자경문>에서 법문을 듣는데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한 부류는 ‘아무리 법문을 들어봐야 나는 깨달음 같은 높은 경지에 이르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고, 또 한 부류는 ‘밤낮 들어봐야 그 말이 그 말이다’하며 법문을 가벼이 여기는 사람입니다. 법문을 듣는 것은 생각을 가다듬어 마음의 양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때문에 법문을 들을 때는 마음을 비우고 이렇다 저렇다 분별하지 않아야 합니다. 법문을 듣는 것뿐만 아니라 기도나 염불도 모두 같은 이치로 해야 합니다.

관음기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올바른 기도가 되기 위해서는 요즘 말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것을 먼저 강조하고 싶습니다. 있는 그대로 바로 보고, 바로 듣는 것이 바로 불성의 작용입니다. 불성이란 어디 다른 곳에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모자람 없이 보고 듣는 것이 불성인 셈이죠. 제 이야기를 듣고 ‘불성이 그렇게 간단한 거야?’라고 의심할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부처님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셨지만 우리는 같은 불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내 판단대로, 본대로 느낀대로 좋다 나쁘다, 있다 없다, 곱다 밉다…, 쉴 새 없이 차별과 분별을 합니다. 시쳇말로 ‘잔머리’를 굴리는 것이지요. 흔들리는 마음으로 보니 만사를 바로 보지 못하고 딴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란 말씀입니다.

기도를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있고, 구하는 바가 있어 기도를 하면서도 ‘이게 과연 효과가 있을까’ ‘기도만 해도 가피를 입을 수 있는 것일까’하고 자꾸 의심을 하게 됩니다. 이제 이러한 의심을 내려놓으시고 지금 일러드리는 세 가지 단계를 자신의 기도와 견주어 하나하나 짚어 보십시오.

기도를 하는 첫 번째 단계는 어린아이가 배고프고 불편하면 울음을 터트리듯, 어렵고 힘든 일이 있을 때 부처님을 찾고 기도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부처님 어려운 일을 해결해주세요’, ‘도와주세요’하고 매달리는 심정으로 기도를 시작하게 됩니다. 물론 이것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힘든 상황에서 불·보살님에게 의지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기도를 계속하면서도 밤낮 이 생각만 하는 것은 아이가 덩치가 큰 후에도 힘든 일만 있으면 울며 부모를 찾는 것과 같습니다. 이럴 때 두 번째 단계로 기도가 이어져야 합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나 자신만을 위해 소원을 비는 것에서 벗어나 남을 위해 기도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일체중생을 조건 없이 제도해주시는 관세음보살님과 같이 우리도 다른 사람들과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위해 기도할 줄 알아야 합니다. 나만 잘되겠다, 우리 아들만 좋은 대학 가야된다, 우리 가족만 잘 먹고 잘 살겠다…. 이런 기도는 기도가 아니라 과욕입니다. 함께 기도하는 대중들 모두,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중생이 불·보살님의 가피를 받을 수 있도록 기도를 해 보십시오. 그 기도는 자연히 자신에게 돌아오게 됩니다.

세 번째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는 기도가 되는 단계입니다. 경계에 따라 흔들리는 마음을 안으로 거두어 내 마음을 부처님과 똑같은 깊고 바른 반야의 마음으로 돌려 놓는 것이 올바른 기도입니다. 기도를 하다 어느 순간 진심으로 ‘관세음보살’을 부르는 그 순간 과거도 미래도 떨어져나가고 오직 그 순간만 남게 됩니다. 바로 이 순간을 이어나가도록 하는 것이 참된 기도입니다. 물론 초심자들은 “~하게 해 주세요”라고 하는 절박한 마음이 없으면 기도를 시작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소원은 기도를 시작할 때 한번만 생각하면 되는 것입니다.

기도를 하면서도 계속 자신의 소원을 중얼중얼 되뇌는 사람들이 있어요. 불·보살님이 소원을 못 들었을까봐 자꾸 되뇌는 겁니까? 이러한 것은 일종의 번뇌요 망상이요 기도의 걸림돌이 될 뿐입니다. 오직 ‘관세음보살’할 뿐, 거기에 어떤 단서나 조건을 붙이면 방해가 된다는 말입니다. 또한 기도를 할 때의 큰 방해꾼이 있으니, 잡념과 졸음입니다.

물론 초심자들에게는 잡념과 졸음이 끊임없이 덮치게 마련입니다. 너무나 오랫동안 쉴 새 없이 번뇌 망상을 피워왔으니까요. 하지만 잡념이 일어나더라도 그 생각을 따라가지 말고, 그때마다 얼른 호흡이나 화두로 마음을 돌려놓아야 합니다. 이렇게 흔들리는 마음을 정념으로 돌리고 또 돌리다 보면 한 곳으로 집중하는 순간이 오게 되고, 진정한 기도가 되는 것입니다.

기필코 깨달음을 얻겠다는 마음으로 기도를 하다보면 ‘무념(無念)’의 상태가 됩니다. 곧 일념(一念)이 가득 찬 무념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선풍기가 빠르게 돌아가면 날개가 보이지 않듯, 번뇌 망상이 끼어들 틈이 없는 상태인 무념으로 들어가면 부르는 나도, 불리는 관세음보살도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 때 비로소 내가 바로 관세음보살이 되고 관세음보살이 바로 내가 되는 것입니다. 이를 삼매(三昧)라고 하는데, 기도를 이렇게 하면 기도삼매, 염불을 하면 염불삼매, 독경을 하면 독경삼매가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이제 삼매에 드는 기도법을 알았으니 바로 알고 바로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 목차 |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