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겁게
일하고 맘 없이 주는 보시 김상일 / 국문학과
교수
지난
시기의 전적들을 접하다 보면 스님들의
행적이 비판을 넘어서 비난을 받기까지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스님들의 출가행위를
무부무군적(無父無君的) 행위라 하여 비난을
서슴지 않는 것이다. 이런 점은 특히 조선시대에
생산된 유가(儒家)들의 문집에서 종종
볼 수 있는데, 이것들은 대체로 유가들의
불교에 대한 얕은 인식과 편향된 시각,
그리고 유가 중심적 가치기준에 근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 시인으로
저명했던 조수삼(趙秀三:1762-1849)도
승려들에게 그리 호의적이었던 것 같지
않다. 그러나 그가 채록한 다음 이야기는
참된 보시 정신을 보여주고 있어 감동을
자아낸다.
덕천의
향교 근처에 빈 골짜기가 있는데 골 안은
모두가 잡목이 우거지고 돌판으로 되어
있어 비옥한 곳이라고는 조금도
없었다. 하루는 한 스님이 와서 청하기를
“제가 저 빈 골짜기를 개간해서 밭을
만들고 갈아서 3년 뒤에는 법대로 세를
바치면 어떻겠습니까?”하였다. 향교에서는
그렇게 하라고 허락하였다
이튿날
아침 그는 두어 말의 떡과 도끼 한 자루를
가지고 와서 떡을 먹고 물을 마셨다. 그리고는
골짜기 안으로 들어가서 손으로 나무를
뽑거나 처내고 발로 돌을 차서 굴려 내렸다.
해가 한 나절도 못 되어 푸른 나무 밑
둥과 뾰쪽한 돌들이 없어지고 땅이 평평해졌는데
뽑은 나무에 불을 놓고 갔다.
다음날
와서는 한 손에 쌍 보습을 움켜쥐고 밑에서부터
봉우리까지 가로 세로 위 아래로 수십
수백 무의 땅을 갈고 조 몇 섬을 심었다.
그리고 초막을 짓고 살았다. 가을이 되어
조 5, 6백 석을 수확했다. 금년에도 명년에도
또 그 다음해에도 이렇게 하여 조 3천여
석을 모았다. 하루는 향교에 와서 고하기를,
“불교도는 밭을 갈면서 배울 수 없으니
소승은 지금 돌아갑니다. 밭은 향교에
드립니다.”하고, 다음 날 개간한 땅이
속한 고을과 이웃 고을 백성 3천여 호를
불러서 집마다 조 한 섬씩 나누어주고는
어디론지 훌쩍 떠나갔다.
조수삼은
유학의 경전은 물론 다방면의 독서를 통해
많은 견식을 쌓았던 사람이다. 또 그는
전국을 여행하여 견문을 넓혔다고 한다.
위 이야기는 그 견문을 기록한 것 중에서
‘기이(記異)’이라는 형식의 글 속에
담겨 있다. ‘기이’란 기이한 행적이나
신이한 사적을 기록한다는 뜻이다.
조수삼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면에 감동해 이를
채집·정리한 것이라 여겨진다.
먼저 잡목이 무성하고 돌들이 어지럽게
솟아 있는 산골을 스님 혼자서 하루만에
개간한 점이 특이했을 것이다. 혼자 힘으로
작지 않은 넓이의 땅을 한 나절 만에 고르고
갈아엎은 그 엄청난 힘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스님이니 고기와 같은 특별식을
먹어 체력을 다진 것도 아닐 것이다. 그가
먹은 것은 두어 말의 떡과 물뿐이다. 지금처럼
불도저를 이용한 것도 아니고 도끼 한
자루와 쌍 보습을 가지고 잡목이 무성하고
모난 돌들이 박힌 땅을 그렇게 빨리 개간한
일을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그것은
아마도 스님의 집중력에서 가능하였을
것이다. 집중력은 그 일을 대하는
자세와 태도에 달려 있다고 생각된다.
만약 스님이 산골 숲의 개간을 통해서
얻을 이익과 그에 따른 어떤 기대감에
매어 있었다면 그 일을 그렇게 빨리 해낼
수 있었을까? 물론 기대감은 때론 미래에
대한 환상을 심어 주어 일을 힘든 줄 모르게
도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일을 앞에 두고
또는 일을 해가면서 이런저런 일(좋은
일이건 싫은 일이건)이 마음에 걸려 계획대로
일을 해내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스님은 적어도 일 할 때만은 아무런 마음이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몸과 마음은
일과 하나가 되어 실수와 낭비가 없이
척척 되어가니 일은 효율적이고 즐거웠을
것이다. 이것은 곧 ‘일 삼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스님이 우리들의 상상을
뒤엎는 일을 해낸 힘의 원천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닐까?
다음으로
이 이야기의 기이함은 스님이 3년 간 생산한
조 3천여 석을 본 고을 사람들은 물론
이웃 고을 사람들에게도 흔쾌히 나누어주고는
표연히 떠나간 데 있다. 이런 행위도 ‘스님이니까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일은 스님들로서도
그리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 시점에서 스님에게 묻는다면, 아마
스님은 이렇게 대답했을 것이다. ‘본래
있던 자리로 돌아갈 뿐이다.’ 곡식은
굶주리는 백성들에게 갔으니 제 갈 데로
간 것이요, 스님은 일이 끝나 다시 공부하러
갔으니 역시 제 갈 곳으로 간 것이리라.
금강경에
“應無所住 行於布施”라는 구절이 있다.
보시를 하되 상(相)에 머무는 바 없이
하라는 말이다. 상을 가지고 보시를 하게
되면 그 보시 대상에게 바램을 갖게 되고
무엇인가를 기대하며, 나아가서는 그 대상을
자기 소유물화 하려는 생각을 내기까지
한다는 것이다. 위 스님이야말로 참으로
금강경의 이러한 보시정신을 실천한 분이라
여겨진다.
한편,
위 이야기는 일에 대한 우리들의 성취
위주의 관념을 반성하게 한다. 우리는
일을 통해서 무엇인가를 꼭 성취하려고만
든다. 물론 이 또한 일을 통해서 무엇을
더 많이 가지려고 하는 소유욕에 뿌리를
두고 있다. 때문에 일에 대한 성공과 실패라는
관념에 지나치게 얽매어 일하는 속에서
얻어지는 참 즐거움에 대해서는 느껴보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스님은 잡목이 무성한
숲을 도끼질로 쳐내고 돌덩이를 뽑아 굴려
내리면서 손끝과 발끝에서 이는 어떤 시원스러움을
느꼈을 것이다. 마치 가슴속에 오래도록
자리잡고서 온갖 망념을 일으키던 한 집착이
놓여나가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지 않았을까.
이제
삼월이 되면 새 학기가 시작된다. 학생들과
교수들의 학업 공간인 강의실도 지식의
전수와 이른바 ‘학점 따기’만이 아닌,
깨달음과 즐거움이 넘치는 공간이 되었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