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Home  정각도량   

 

양지(良志) 스님과 향가 풍요

김상현 /  사학과 교수

 


양지스님의 전기는 잘 알 수 없다. 다만 그가 선덕여왕(632∼646) 때로부터 문무왕(661∼680)대에 이르는 7세기 중엽을 전후한 삼국시대 말기에 활동했던 고승임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양지는 주로 석장사(錫杖寺)에서 살았다. 이 절의 남쪽으로 신라 왕경이 내려나 보이기는 해도, 시내로부터 꽤 멀리 떨어진 조용한 골자기에 위치한 아담한 절이었다. 지금은 그 절터만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뒷산에 있다.

그가 살던 절을 석장사라고 이름했던 것은 까닭이 있다. 그가 지팡이 끝에 포대 하나를 걸어두면, 그 지팡이는 저절로 시주의 집으로 날아가 흔들면서 소리를 내었다. 시주는 그것을 알고 재(齋)에 필요한 비용을 넣어 주었고 포대가 차면 날아서  돌아왔다. 이처럼 지팡이인 석장을 날려서 재에 필요한 시물(施物)을 보시 받을 수 있었다는 것은 그만큼 양지의 수행으로 얻은 법력이 남달랐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아무튼, 이로 인해서 그가 살던 절을 석장사라고 했다는 것이다. 양지는 이 절에서 삼천불(三千佛)을 새긴 전탑(塼塔)을 조성했다. 불상을 새긴 전돌로 만든 탑은 그 자체가 곧 삼천불전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양지의 생활을 일연은 다음과 같이 찬양하기도 했다.

재 마치니 법당 앞의 석장은 한가한데,

향로에 손질하여 향을 피운다.

남은 경 다 읽으니 더 할 일없어,

불상을 만들어 합장하며 본다.

재가 끝났으니, 석장은 법당 앞에 한가로이 세워져 있고, 법당에는 향연이 고요히 피어오른다. 스스로 조성해 모신 삼천의 불상을 향해 합장하고 있는 덕 높은 스님의 모습이 선하게 떠오르는 시다.

양지는 여러 가지 기예에 두루 통했던 예술가였지만, 특히 그는 뛰어난 조각가로도 유명했다. 영묘사의 장육존상과 천왕상, 전탑의 전 등은 모두 그의 작품이었고, 또한 사천왕사 탑 아래의 팔부신장과 법림사의 주불삼존 및 좌우의 금강신 등이 그가 조성한 것이었다고 한다. 그는 글씨도 잘 썼는데, 영묘사와 법림사의 편액은 그가 쓴 것이었다. 그의 작품으로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것은 사천왕사의 신장상이 대표적인 것이다. 경주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 이 신장상은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된 걸작으로 평가된다.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양지가 살았던 석장사터를 두 차례 발굴한 바 있다. 그 결과 양지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상당수의 유물을 수습했다. 비록 작지만 힘이 넘쳐나는 금동신장상, 유려한 선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금동관음보살상 등을 비롯하여 탑과 불상이 새겨진 전탑 전돌 190여 점이 수습되었다고 한다. 전돌에 새긴 탑과 불상을 통해 삼천불탑이 있었던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고, 불상들은 각기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어서 자유로운 표현 기법을 알 수 있다. 탑과 불상을 새긴 전돌에 연기법송(緣起法頌)을 새긴 것도 발견되었다. 모든 법이 인연에 따라 일어나고 없어진다는 연기의 진리를 읊은 게송을 탑상문전에 새겨 넣은 것은 법사리(法舍利)를 봉안해 모신 것이었고, 이것은 인도로부터 유래된 것이었다.

영묘사는 선덕여왕의 발원으로 세운 절이다. 원래 연못을 메워서 세운 이 절의 법당은 3층으로 웅장했다. 이 절의 주존불인 장육존상은 양지가 조각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 불상을 조성할 때 입정(入定)하여 삼매(三昧)에서 본 부처를 그 모형으로 삼았다고 한다. 이는 불상의 본질을 진정으로 관조하고 그 형상을 곡진하게 조각하려는 전신사조(傳神寫照)의 노력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양지가 영묘사의 이 불상을 조성할 때 온 성안의 선남선녀들은 서로 다투어 흙을 운반했는데, 그들은 다음의 풍요를 노래했다고 한다.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슬픔 많아라

슬픔 많은 우리무리여

공덕 닦으러 오다

사람들에게는 많은 슬픔이 닥친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고통과 슬픔은 많다. 그러기에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苦)의 성스러운 진리다. 마땅히 알라. 태어남은 고다. 늙음도 고다. 병은 고다. 죽음도 고다. 미운 사람과 만나는 것도 고요,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도 고요, 욕심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고다. 통틀어 말한다면, 이 인생은 바로 고 그것인 것이다.

이는 사제(四諦) 중의 고제(苦諦)에 대한 설명이다. 사실 삶의 현장에는 어려운 일 많고, 만족스럽지 못한 일 많다.

우리에게 슬픔은 불현듯 닥치고 삶은 무거운 짐이 될 수도 있다. 어떻게 이 고개를 넘어갈 것인가? 신라의 선남선녀들은 불상 만들 흙을 나르면서 노래했다. 오라 오라. 서러운 인생이여, 공덕 닦으러 오라고. 그렇다. 공덕만이 우리를 저쪽 언덕 피안으로 건너 줄 확실한 다리다. 공덕은 입에 발린 말이 아니라 육바라밀의 실천 바로 그것이기에. 그 옛날 신라사람들도 인욕과 정진 등의 공덕을 닦는 일이야말로 슬픔의 강을 건너 줄 나룻배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니, 참으로 양지스님의 덕화(德化)는 컸던 셈이다.

 


Copyright(c) 1997-2001 Jungga
kwon All Right Reserved.
junggakwon@hanmi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