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Home  정각도량   

 

참회하는 마음

이강석/ 도서관 학술정보관리팀장

 


1982년 초여름, 나는 경북대 문헌정보학과 졸업반 학생으로서 동국대학교 경주분교(당시의 명칭) 도서관에 근무를 희망했고, 발령이 예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8월에 졸업을 하고 집에 와서 홀어머니 농사일을 돕고 있었는데, 9월이 지나가고 10월이 왔는데도 아무런 소식이 없었다. 요즘 대학 졸업 후 미취업자의 심정에 비할 바는 못되겠지만, 그때 느꼈던 초조함이란 이루 말할 수 없었고, 어머니에 대한 민망함도 컸으며 이웃 분들의 시선 또한 곱지만은 않았다. 하지만 지도교수님의 고마운 재알선으로 서울 소재 K 대학교 도서관 근무가 약속되어졌다. 서울이라는 낯선 곳으로의 떠남이란 내키지 않았지만 지도교수의 따뜻한 배려와 뒤따라 졸업할 학우들의 기회(機會)보전 앞에 결심을 한 것이다. 그런데 K 대학으로 근무 수속 3일을 앞두고 동국대학교 경주분교 도서관 새내기 사서로 임용 발령을 통보 받게 되었다. 그러니까 이것은 지금으로부터 18년 6개월 전의 일이다.

내 삶의 터전으로서 또 다른 모교가 된 동국으로 온 이후, 난 1983년 하계신입교직원 해인사 홍제암 수련회를 필두로 하여 수많은 법회에 참석했고, 문수회(신행 단체)활동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부처님의 생애, 중도, 사성제, 팔정도, 십이연기, 업설, 육바라밀, 중관, 유식, 화엄, 정토, 선... 등에 관한 많은 설법을 들었지만, 무엇이 소승이고 무엇이 대승이며 또 교리간의 관계를 나는 제대로 잘 알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각각의 교리 내지 사상에 대한 내 이해와 실천의 미진함을 여기서 고백하고 참회하고자 한다. 앞서서 계산한 18년 6개월이 너무 초라해 보여 부끄럽다. 그래서 모든 법회의 시작인 삼귀의와 마지막인 사홍서원을 할 때 항상 참회의 마음(念)을 갖는다. 약속을 정해놓고 실천은 뒤에 미루는 결과를 계속하고 있으니 말이다.

참회해야하는 일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 불자들이 다 알고 있는 오계(五戒)의 다섯 가지 계목(不殺生, 不偸盜, 不邪, 不妄語, 不飮酒) 중에서 나는 불음주(不飮酒)에 대해서는 정말 자신이 없다.

재가신도에게는 비교적 너그러운 이 계가 분별선악소기경(分別善惡所起經)에 의하면 말을 많이 하게 되고 이간질을 한다. 등 36가지의 과실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성실론(成實論)에서는 죄악의 문이라고 경계하였다.

그리고 불살생계(不殺生戒)는 모든 계법 가운데 가장 근본이 되는 계목으로서 나와 더불어 남의 생명을 사랑하고 소중히 하며, 산목숨을 해치는 것을 가장 큰 죄악으로 삼는 것으로 금계의 첫 번째가 된다. 그런데 깊은 산골에 산 나는 초등학교 시절까지 놀이 삼아 좁은 산간 계류의 버들치, 들판에 메뚜기, 길가의 개구리 등을 잡고, 해치곤 했다. 지금 생각하면 가슴아프고 후회 백 겁, 만 겁의 악사이다. 이를 다시 되돌릴 수 없을까.

지난해 초봄의 일이었다. 숲이 좋은 경주 황성공원에서 자전거 타기를 좋아하는데, 나에게 청천벽력 같은 일이 발생하였다. 공원의 다람쥐가 나의 자전거 앞바퀴를 싹 지나간 것이다. 워낙 날쌘 놈이니까 지나갔겠지 하는 순간, 자전거를 타고 뒤따라오던 중학생이 다람쥐가 쓰러졌어요!라고 했다. 이럴 수가. 다람쥐는 머리에 피를 흘리며 발부등치고 있지 않은가. 나무관세음보살 나무관세음보살 나무관세음보살.... 움직임이 멈추었다. 나무지장보살 나무지장보살 나무지장보살... 나무 밑 조용한 곳에 묻어 주었다. 그 때의 심정이란 이루 형언할 수가 없다. 그 아스팔트 위에 남은 V자모양의 피의 흔적을 오랜 기간 동안 지켜보아야 했고, 번식기는 34월이며, 56월경에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고 했으니 그것이 어미의 생명이라면 더욱 더 어찌 할 수 없는 노릇이었으나, 살의가 없었으니 나를 용서해주고 다음엔 더 좋은 세상에 태어날 것을 오랫동안 빌고 또 빌었다. 피의 흔적을 지워줄 비는 왜 그리 오래도록 오지 않던지...

지금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고 오계를 수지(受持)하였지만, 물가에 앉아 조구(釣鉤;낚시라는 말은 입에도 담지 않기로 함)를 즐기거나 뭇 생명을 가벼이 여기는 중생들에게 내 아픈 과거와 회한을 꼭 전하고 싶을 따름이다.

주제를 바꾸어 나는 도서관에서 학술정보를 시물(施物)하는 시자(施者)가 되어 수자(受者)에게 봉사하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학창시절에 도서관의 참고봉사를 기독교적 희생정신이라고 소개한 교재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는 매우 단순 추상적이며 구체적 실천행으로는 부족한 점이 없지 아니하다. 여기서 육바라밀중 유가사지론 권 제39에 나오는 보시사상 9종 중 제9종인 청정시(淸淨施)의 일부분을 소략히 소개하고 도서관 봉사자로서의 보살수행의 덕목으로 삼아 실천하여 참회의 양을 줄이고자 한다.

청정시에는 열 가지로 나누어 설명된다. 이중에서 몇 가지 내용을 살펴보면 불유체시(不有滯施)는 구걸자가 있으면 현장에서 즉시 보시하는 것을 말하며, 불고거시(不高擧施)는 겸손하고 마음을 낮추어 보시하며 남보다 수승하다고 뽐내는 일이 없고 교만하지 않은 자세로 보시하는 것이다. 무소의시(無所依施)는 명예로운 칭찬을 받고자 하지 않은 보시를 말한다. 또한 불향배시(不向背施)는 평등한 마음으로 붕당에 따르지 않고 원수와 친한 것을 가리지 않고 자비심으로 보시하는 것을 말하며 불망보은시(不望報恩施)는 보시를 하면서 대가와 보답을 바라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내용만으로도 올바른 직업윤리관을 형성하는데 있어 부처님의 가르침은 수승해 보인다.

18년 6개월 전의 기다림과 당황함이 오늘날 부처님의 가르침 속에서 세속의 모든 때(垢)를 벗을 수 있고, 참회에 인(因)이 되어 하심과 겸손을 느낌에 무한한 감사와 환희를 느낀다.

 


Copyright(c) 1997-2001 Jungga
kwon All Right Reserved.
junggakwon@hanmi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