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의
봄비 강석근 / 인문과학대 국어국문학과
강사
雨聲偏與睡相宜 빗소리와
더불어 낮잠자기 알맞은데 一榻蕭蕭日暮時 쓸쓸한
의자에는 저녁 해가 저무누나 無限人間有年喜 뭇사람들은
풍년 든다 기뻐하는데 山僧獨?菜苗滋 산승만이
채소 어린 싹이 자란다 자랑하네
<이규보의
山中春雨>
봄비가
온다. 언 대지를 녹이며 만물에 생명과
활기를 불어넣는 봄비가 내린다. 이 계절의
봄비가 주는 아름다운 흥취를 노래한 위의
시는 백운거사 이규보의 <산중의 봄비>라는
작품이다. 기·승구는 인간세상의
시름을 잊게 하는 비 오는 저녁 산사의
탈속적인 정경을 서술하고, 전·결구는
욕심 없는 선승의 고상한 정신 세계를
묘사하고 있다. 전구의 뭇사람들은 풍년을
기약하는 단비라 기뻐하는데, 선승만이
텃밭의 어린 채소가 자란다 자랑한다.
이 내용으로 보아 이 시의 승려는 선원(禪院)의
청규(淸規)를 지키며 손수 농사를 짓는
선승일 것이다.
비가
내리면 온 대지에 두루 내리지 산사의
채소밭에만 오지는 않는다. 봄비가 삼라만상을
골고루 적시는 것에 개의치 않고 자신의
채소밭에 내리는 것만을 좋아한다면, 하화중생(下化衆生)의
도를 실천하는 승려의 태도는 분명 아닐
것이다.
이
시는 화엄사상인 ‘일즉다 다즉일(一卽多多卽一)’의
사상이 기본 배경을 이룬다. 화엄사상은
“하나 가운데 일체가 있고 일체 가운데
하나가 있으며, 하나가 곧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라는 논리가 주지인데, 위 작품은
‘일즉다 다즉일’의 화엄사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나와 일체의 차별과 분별을
합일시키는 화엄사상의 자재로운 정신으로
인해 이 시의 아름다움은 더욱 돋보인다.
이러한
논리로 보면, 선승이 산사의 채소밭에
내리는 봄비를 보고 기뻐한 것은 온 세상의
풍년을 예감하기 때문일 것이다. 곧 산승은
산사의 채소밭에서 전국의 전답에 내리는
비를 보았던 것이다. 곧 채소밭이 곧 전국토라는
사고는 ‘일즉다 다즉일’의 화엄사상이
변주된 것이다. 이처럼 현상적인 사실을
넘어서 우주의 이치를 직관하는 시적 화자의
높은 도력이 시어 속에 내밀하게 깃들어
있기에 이 시는 수준 있는 불교시로 승화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