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ck |

 

월간 정각도량 / 10월호 / 통권 2호 / 불기 2537(1993)년 10월 1일 발행

 

 

 

 

고승법어

깨달음의 길/원담 큰스님

 

권두언

내 짐 벗고 남의 짐 지고/김갑주

 

정각도량

實名과 法名/ 한보광 스님

 

정각논단

불교와 종무행정/ 심익섭

 

교리 강좌

사홍서원/ 편집위원

 

경전의 세계

아함경/ 편집위원

 

선시(禪詩)

참다운 진리는 / 편집부

 

불심의 창

나의 신앙 체험 / 홍윤식

 

불자탐방

일상생활 속의 수행 유인수 거사/ 편집부

 

신행단체

동국대학교 보현회

 

전등이야기

인과에 어둡지 말라/ 편집부

 

비유와 설화

어떤 여인의 기구한 인연 이야기/ 편집위원

 

일주문

멈추시오, 멈추시오!/ 이봉춘

 

가람의 향기

기림사/ 편집부

 

불서소개

조선불교유신론 / 편집부

 

동국과 불교

한말 불교계와 명진학교의 여명/ 편집위원

 

 

 

고승법어

바른 깨 닫음의 길 /원담 큰스님

정각원에서는 9팀 14일 2학기 개강 고승초청법회를 봉행하였다. 다음은 초청법사이신 수덕사 방장 원담 큰스님의 설법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유서 깊은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는 동국대학교에서 불자 여러분들과 법회의 지중한 인연을 함께 갖게 된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합니다.

오늘 법회의 주제가 ‘바른 깨달음의 길’이므로 동국대학교 정각원의 ‘正覺’과 관련하여 생각해보기로 하겠습니다.

원래 바른 깨달음(正覺)이란 부처님이 증오(証悟)하신 진리를 말하는데 그 진리 자리는 본래부터 부처님이 출현하신 이전에도 있었고 이후에도 있었으며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영속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류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수많은 성현 군자들이 이 땅에 출현하였지만 그 본래 면목의 진리 자리는 발견하지 못하였고 오직 부처님만이 그 자리를 발견하였던 것입니다. 부처님이 정각하신 진리는 참으로 신령스럽고 영묘한 것이므로 그것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있으며 생사와 열반을 뛰어 넘어서 있습니다. 그러므로 진리의 당체이신 부처님은 生이 없는데서 생을 보이셨고 멸이 없는데서 멸을 보이신 것입니다. 이 자리는 누구나 증득만 한다면 生․老․病․死에서 자재하고 일체의 걸림과 속박에서 훨훨 자유로워질 수가 있습니다. 이 같은 여래장의 보배 구슬을 찾기 위해 불보살님과 역대의 조사님들은 용맹정진 하신 것입니다.

불교가 지향하는 길은 이 길이며 궁극의 목표도 바로 이것을 찾는데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길은 결국 자기 자신이 홀로 걸어가면서 증득해야 하는 길입니다. 제불보살님은 방법만 가르쳐주시고 안내역만 하실 뿐 우리를 대신하여 증득해 주실 수는 없는 자리입니다. 이 길은 스스로 정진해 나아가는 길이기에 어떠한 강요나 핍박이나 구속이 있을 수 없습니다. 어떤 신이나 절대자가 있어 우리를 제어하거나 강제할 수 없는 길입니다. 오직 스스로 혼자서 깨달아 들어가는 길인 것입니다. 자기의 능력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자기의 멋과 장단에 따라 걸어가는 길입니다. 이 길을 가는 데는 남녀노소 빈부귀천의 차별이 없으며 세간과 출세간이 따로 있을 수 없습니다. 왕도 추우면 떨고 거지도 추우면 떨듯이 아이가 소금을 먹으면 물을 켜고 어른도 그러하듯이 마음이 있는 자 모두가 평등하기에 차별이 있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평등성중에서 자신의 능력과 힘으로 깨달아 들어가는데에 불교의 특징이 있는 것입니다. 무엇이 우리를 속박할 것이며 어떤 절대자가 있어 우리를 구속할 수 있겠습니까. 오직 우리 스스로 닦아 나아가는 자력의 길이 있을 뿐입니다.

불교 안에는 선도 있고 염불도 있고 그 밖에도 여러 가지의 가르침이 있습니다. 경전에는팔만사천의 법문이 설해져 있어 우리를 진리의 길로 인도하여 줍니다. 특히 불교 교리의 방대하고 심연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불교를 학문적으로 배우고 연구하며 분석할 필요성도 있습니다. 신앙을 갖는데도 교학적인 이론체계가 정립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론과 함께 반드시 실천이 병행해야 합니다. 이론과 실천은 새의 두 날개와 같고 수레의 두 바퀴처럼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실천문에 있어서의 선(禅)은 중시되지 않으면 안됩니다. 천만 권의 경전을 다 배워 외우더라도 선적인 체험이 함께 하지 않는다면 결코 정각에는 이를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정각원에 오셔서 공부하는 여러분들도 좌선공부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불교의 요는 선에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육신으로서의 업신(業身)을 벗기 위해수행을 합니다. 번뇌에 휩싸여 있는 업신은 그 속성이 좋지 않습니다. 주기보다는 받기를 원하고 내 탓보다는 네 탓을 네 몫보다는 내 몫을 아주 잘하는 몸입니다. 이 업신은 고철덩어리처럼 업장이 두텁고 무거워서 한강에 던지면 바로 가라앉아 버립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죄장이 무겁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참선 공부에 의한 정진의 힘은 우리의 무거운 업신을 감로수와 같은 청정 법신으로 변화시켜줍니다. 이 법신은 부모가 출생하기이전(父母未生前)부터 이미 있었습니다. 이 법신은 온 우주에 충만하여 있는데도 우리는 업장이 두터운 업신을 가졌기에 보지 못 할 뿐입니다. 이 같은 청정 법신을 찾는 길은 오직 참선만이 첩경입니다. 역대 조사님들은 거개가 여러해의 선수행(禅修行) 뒤에 도를 이루셨고 부처님도 6년간의 선적 체험 후에 성도하셨습니다. 선수행의 길은 불도 수행에 있어 최상의 길입니다.

불법의 인연이 맺어지는 불자님들 마다 선실수(禅実修)에 의한 수행법을 실행함으로써 모두가 바른 깨달음의 길에 들어설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동국인을 비롯한 모든 불자님들에게 항상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충만하시기 바랍니다.

 

 

 

 

 

 

권두언

내 짐 벗고 남의 짐 지고 /김 갑 주(경주캠퍼스 부총장)



절집을 도량이라고 하니 ‘정각 도량’은 마음을 바르게 깨치는 절집이다. 절집 또한 어느 일정한 집이라기보다 바로 우리네 마음이요, 우리가 사는 이 세상, 그리고 매일 만나는 동국의 뜨락이 모두 절집인 셈이다.

재미난 이야기가 하나 있다. 진리를 찾기 위해 정진하던 형제 스님 두 사람이 있었다. 형제가 각각 탁발을 나갔는데, 돌아오는 길에 동생이 어느 산모퉁이를 지나게 되었다. 거기에 한 무리의 놀이패가 있었다. 그 속에는 평소 누구보다 불심이 강하고 계율을 잘 지키던 형님이 기생들과 어울려 춤판을 벌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놀란 동생은 한없는 실망감으로 절에 돌아와 형을 기다렸다. 그런데 해가 저물자 형은 아무 일도 없었던 듯 태연히 불경을 외며 절로 돌아 왔다. 그래서 동생이 힐난하기를 “형은 출가하여 정진하는 줄 알았더니 오늘 보니 기생들과 어울려 춤이나 추니 어찌된 일이오?” 하였다. 그러자 형이 대답하기를 “네 이놈, 나는 기생과 어울려 놀았지만 다 잊고 미련 없이 돌아왔건만 너는 눈으로 본 것만으로도 지금까지 잊지 못하고 그 생각을 하고 있느냐.”라고 꾸짖었다고 한다.

재미있게 각색된 불교설화인데 나이를 먹고 그 전거를 찾아보니 종용록 제57칙에 실려 있는 엄양 존자와 조주 스님의 선문답에서 비롯된 듯하다. 엄양 존자가 조주에게 “한 물건도 가지고 오지 않았는데 어떻게 합니까(一物不将來時如何).”라고 하였더니 “방하착(放下着)하라.”하였다. 엄양 존자가 “한 물건도 가지고 오지 않았는데 무엇을 방하합니까(一物不将來放下箇甚磨).”하니 조주가 “그러면 지고 가거라(恁度則担取去).”라고 하였다고 한다.

이제 우리는 무엇을 버리고 또 무엇을 지고 가야 할까. 자신에 대한 명예욕․권력욕․증오심․ 애정․생로병사……. 우리를 수렁에서 허우적거리게 하는 것들은 무수히 많다. 이 모든 것들도 이기적인 욕심에서 온다. 이 욕망의 덩어리를 버릴 일이다.

개인적인 아집을 버리면 무엇이 남을까. 다른 사람들의 고통, 천하고 가난하고 욕되고 힘든 세상살이, 이것들을 내가 자고 가자는 뜻은 아닐까. 우리는 너무나 타성에 빠져 남 헐뜯기를 좋아하고, 공은 자기 것으로 하며 허물은 남의 탓으로 돌리기를 잘한다. 우리 동국의 가족들은 부처님의 자비로운 눈으로 마음의 문을 열고 모든 삼라만상을 사랑하도록 하자. 남을 탓하고 미워하는 것은 그만큼 스스로를 미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정각도량

実名과 法名 /한 보 광(서울캠퍼스 정각원장)



지난 8월 12일 저녁에 갑자기 금융실명제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 실명이라는 것이 출가자인 나와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날이 갈수록 그렇지 않음을 실감하게 되었다.

스님들은 불문에 귀의하면 속세의 모든 인연을 끊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지금까지 입었던 속복을 벗고 승복으로 갈아입으며, 길렀던 머리도 자르므로 외향적으로 승려의 모습을 갖게 된다. 또 부모와 인연을 끊고 은사(恩師)를 정하여 일생을 의탁하며, 속가를 떠나 절집 안에 머무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외면적인 변화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속명을 버리고 법명(法名)을 받으며, 심지어는 속성(俗姓)도 사용하지 않고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이므로 석씨(釈氏)를 쓴다. 우리나라에서 스님들이 법명 앞에 속성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일제 시대 호적제도가 생긴 이후부터인 것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불가에서는 주로 법명을 사용하므로 속명을 대면 옆에 있는 도반도 누구인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득도 후의 이름을 법명이라고 하는 대신 속인때의 이름을 기피하여 속명 또는 호적명(戸籍名)이라고 부르지 실명(実名)이나 본명(本名)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이러한 생활에 익숙한 스님들로서는 으레이 즐겨 부르는 이름을 사용하며 속명은 부득이 하여 관청에서나 쓰는 관청용의 이름이다.

그러나 상황은 바뀌었다. 어느 날 갑자기 많은 스님들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지금까지 법명으로 통장을 개설하여 사중재정을 관리하여 오던 스님들은 그 모두가 가명통장이라는 낙인이 찍히게 되었으며 마치 검은돈인양 취급받게 되었다. 이것도 빨리 실명화 하지 않으면 엄청난 불이익을 받게 되며, 또 일정금액이상을 속명 화할 경우에는 자금출처를 조사하겠다고 하니 난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것을 시행하기 전에 정부는 마땅히 종교단체를 제도권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종교법인법(宗教法人法)을 제정했어야 했다. 그러나 아직도 종교단체는 제도적으로 아무런 보장도 받지 못하고 항상 초법적인 위치에만 놓아두고 있으니 이는 어찌 보면 불법적인 단체로 방치해둔 상태이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중국이나 일본처럼 출가자들에게 이름을 바꾸어 주는 제도를 도입해야할 것이다. 이들 나라도 이름 바꾸기가 여간 까다롭지 않으나 출가자들에게는 호적상에 속명을 법명으로 개명(改名)해 주고 있으니 우리도 한번 생각해 봄직한 제도인 것 같다.

 

 

 

 

 

 

 

정각논단

불교와 종무행정 /심 익 섭(행정학과 교수)



Ⅰ. 현대 한국의 문화적 유산은 물론이요, 정신적 뿌리의 대부분이 불교의 오랜 전통에서 연유되고 있음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한국불교를 운영하기 위한 교단의 성립 기원은 고구려 소수림왕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바, 이미 1,600년 이상 이 땅의 사상과 전통 문화의 맥을 이어옴으로써 국민의 마음속에 하나의 가치관 내지 세계관으로 불교 사상이 자리 잡고 있음을 부인할 수없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종종 한국사회에서의 불교 위상 재정립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어느 한 종교의 흥망성쇠를 단순한 획일적 원인 설명으로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많은 뜻있는 사람들이 “한국불교의 중흥”과 관련하여 불교 종무 행정(宗務行政)의 합리성 문제를 거론하고 있음을 자주 듣고 있다. 이 말은 역사가 흐르고 사회는 변화하며 인간의 꿈이 발전 의지로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물론 사회 자체의 요구나 과제가 과거와는 달라지고 있으며, 이때 불교 또한 급변하는 현대사회와 소외당하는 인간을 방치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사실과 연관되어 있다. 즉 인간에 내재한 불안해소와 외적 변화에 대한 위안을 주는 것이 종교라고 할 때, 불교 역시 새로운 인간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하고 급변하는 국가사회의 기대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Ⅱ. 생각건대 오늘날 불교만큼 심오한 내용이 내면화되어 있는 종교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도가 늘어나며 외형적인 교세가 급성장하는 타종교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다는 사실은 불교 진리 이외에 전략적인 종단관리의 측면, 즉 종무 행정의 문제점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할 듯하다. 세계 최고의 품질을 자부하는 상품도 마케팅 전략이 뒷받침되지 못하면 빛이 바래지듯이, 불교의 오묘한 내용 또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종무 행정의 지원 없이는 불국토 건설이라는 목표에 다가설 수 없는 것이다.

한 마디로 불교 종무 행정이란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종단의 모든 인력과 자원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종무 행정은 불교 자제를 가장 외곽에서 수호하는 제도적 장치이며, 동시에 이는 수행자가 더욱 큰 진리의 빛을 발하게 하는 서비스 체제이고 아울러 신도들을 위한 봉사 행정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렇게 볼 때 종무 행정이야말로 불교 조직이 활성화되고 나아가 불교가 발전하기 위한 기본 토대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불교 조계종만 해도 종단 조직이 대규모화되고 내․외부적으로 다양한 구성 인원과 소집단들에 의한 복합적인 조직체계를 이룸으로써, 불교 교리 이외에 이러한 거대 조직을 총체적으로 관리해 나가기 위한 고도의 전문적인 행정 체계의 정립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행정 메커니즘이 운용될 경우에만 종단 발전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현대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Ⅲ. 현 상황에서 고찰할 때 한국불교 종무행정이 당면하고 있는 핵심적인 과제는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각종 종법(宗法)의 정비와 정책 목표 문제.

② 종단 조직 체계의 합리성 문제.

③ 종단의 인사 행정(인사 관리)

④종단 재산 관리 및 재무행정

⑤ 신도 관리 체제.

물론 종무 행정이 교단의 전반적인 행정 현상을 거시적으로 포용하는 것이고 행정적인 관리를 위시하여 정책적 과정․제도․조직․기구는 물론 이들 간의 상호관계 등 종단운영의 모든 원리 원칙을 총괄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내용이 매우 광범위하나, 현실적으로는 이들 “5대 과제”에 대한 새로운 발전적 방향 제시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단들이 동원될 수 있는데, 특히 불교 종무 행정의 기능 확대와 양적․질적인 변화를 감안할 경우 논리적으로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기본방향을 고려해야 한다.

① 종책(宗策) 및 계획 행정 체계의 개발.

② 합리적인 조직 발전과 업무의 표준화 추진.

③ 종무 행정의 전문화와 분업화 전략.

④ ‘본말사 자치제’(本末寺自治制)와 같은 「종단 자치 행정」의 수용.

⑤ 과학적인 행정 조사와 정확한 통계.

Ⅳ. 이러한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불교 종무 행정에 대한 구체적인 발전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우선 불교 발전을 위한 종무행정 발전의 구현 방향으로는 ‘자치 행정(Selbstverwaltung)의 정착’을 대전제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계종의 교세나 종단 규모를 보면 방대한 조직을 중앙집권적 혹은 획일적으로 운영하는 데는 뚜렷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단의 민주화나 조직합리화 차원에서 자치 행정 체계의 구축이 필연적인 발전 방향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종단 자치’란 분권화의 원리에 입각하여 종단내 구성원 및 하위 체제들의 광범위한 자율성을 의미하는데, 보다 중요한 것은 중앙(총무원)과 지방(본말사)간의 합리적인 기능 재정립이 전제가 된다는 사실이다. 즉 형식적으로는 총무원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를 이루는 것 같으면서도 취약한 종단 예산 규모나 비합리적인 중앙一지방간 기능 배분으로 실제로는 집권적이지도 못하며 그렇다고 분권적이지도 않은 非체계적인 행정 구조를 자치 이념에 입각한 역할 분담의 재정립방향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모든 종단 구성원들의 민주적 참여에 의한 종무 행정의 운영과 중앙이나 종단 최고 관리층의 독선을 제도적으로 막을 수 있고, 나아가 종단 내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소한다는 차원에서도 ‘자치 행정’의 체계적 발전이 최선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처럼 ‘종단자치’에 바탕을 둔 종무 행정 발전의 구체적인 발전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① 기능의 중첩 내지 상호 역할이 상충하는 종헌․종법의 정비.

② 방대한 종단조직의 합리적 관리 및 체계화와 조직 목표의 정립.

③ 종단 인사 행정 체계의 개선.

④ 과학적인 종단재산 관리와 현대적인 예산․결산 등 재무 행정 체계의 구축.

⑤ 합리적인 참여 지향적 신도 관리 체계.

Ⅴ. 한국 불교는 지금 중요한 전환점에 서있다. 새로운 문민정부의 등장으로 과거와는 다른 정치적 환경을 맞고 있으며, 급변하는 사회 변동 속에서 전통만을 고집할 수도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불교 발전의 정책적 추진체인 종무 행정의 적극적이고도 합리적인 대응이 중요하다. 생각건대 모든 종무 행정의 원칙을 불타의 참뜻에 따라 적용한다면 종국적으로는 다른 어느 종교보다도 발전할 수 있는 도약을 위한 토대가 튼튼하다고 자부할 수 있다.*


* 대한불교 조계종 종단 행정을 중심으로 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는 동국대학교 석림회 논문집 「釈林」(제27집․近刊)에 실린 필자의 논문을 참조할 것.

 

 

 

 

 

 

교리강좌

사홍서원 /편집위원



서원의 중요성

굳이 경건한 종교적 자세를 앞세우지 않더라도 우리는 자기 나름의 크고 작은 원(願)을 세우고, 그 원을 실현하기 위해 애쓰며 살아간다. 더 이상 세울 만한 원도 떠오르지 않을 때, 삶 자체가 무료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지게 된다. 지난날을 돌이켜 보면, 지금의 내가 이 모양으로 있게 된 데에는 어쨌거나 숱하게 교차해 갔던 원들과 그것들에 대한 나의 태도가 크게 작용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점을 인정하고 싶지 않을때, 우리는 운이 좋았다거나 나빴다고 하여 모든 것을 운명의 탓으로 돌린다.

운명이라는 게 자신을 위안하는 편리한 변명거리요 도피처이긴 하지만, 그 위안은 무책임한 것이라는 점을 떠나서도 일시적인 것일 뿐이다. 운명 탓으로 돌린 위안이 흡족치 못하거든 다시 그간의 삶을 반성해 보자. 이런 반성에서는 자신이 전에 세웠던 원의 질과 그 원을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노력해 왔는가를 점검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무지개 같은 원을 세우긴 했지만, 그것을 하나의 희망사항으로 방치하면서 요행을 바라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뭔가 부지런히 애쓰긴 했지만, 그렇게 하여 달성하고자 했던 원이 비도덕적이거나 비사회적인 것은 아닌지? 아니면 원이란 게 쉽게 달성되는 것이 아님을 먼저 알아차리고서 그때그때 닥치는 대로 적당히 대처해 오지 않았는지?

그렇게 반성해 보면, 젊거나 늙음의 나이에 관계없이 우리의 삶을 의미 있게 지속하기 위해서는 좋은 원을 세워야하며, 세우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계속 노력하고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실현까지는 확인할 수 없더라도 노력하고 있다는 자체로도 위안을 주는 그런 원이라면 정말 ‘좋은 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소원 또는 희망이라는 말로 많은 원들을 세우지만, 그에 대한 절실한 결의까지 동반하지는 않기 마련이다. 이는 아마도 그것을 진정 ‘좋은 원’이라고 확신하는 자신감이 없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래서 확고한 결의가 없는 원은 단순한 기대에 지나지 않게 된다.

자신을 위해서든 남을 위해서든 ‘좋은 원’을 세우고, 이에 대해 끊임없이 자기 확신에 의한 확고한 결의를 다지면서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불교 특유의 관념이 ‘서원’(誓願)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가장 바람직한 이상을 세우고 그것을 실현하겠다고 맹세하는 것이 서원이다. 그리고 이 서원의 요지는 스스로 부처가 됨과 아울러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것이다. 그 구제는 널리 모든 중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서원은 홍서(弘誓) 또는 홍원(弘願)이라고도 불린다. 이런 서원을 일으키는 것이 발원(発願)인데, 보살이 발하는 보리심, 즉 발보리심의 내용에 상당한다.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따르고 실천하겠다는 의지가 집약되어 불교라는 종교가 형성되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서원을 불교 신앙의 핵심으로 인식하면서부터 기존의 불교는 대승불교라는 보다 차원 높은 종교로 변신하였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이상에 가장 적합한 인간상이 보살로 부각되고, 이 보살은 성불이라는 개인적 목표 달성에 노력함은 물론이지만 이에 못지않게 타인을 성불로 이끌어 구제하는 일에도 몸을 아끼지 않는다. 이런 일은 보통의 각오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그래서 무엇보다도 먼저 그런 나름대로의 확고한 각오를 다져 맹세하는 일이 중요하다. 바로 이러한 자세를 일컬어 서원이라 하며, 서원을 세우는 발원은 보살이라 불릴 수 있는 필수조건이 된다. 이제 이는 불교도의 기본 조건이기도 하다.


사홍서원의 실천

우리가 믿는 대승불교는 실로 서원으로 이루어진 종교라고 말할 수 있다. 서원이 없는 부처․보살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서원들을 크게 셋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보살이 과거에 일으킨 서원을 본원(本願)이라 한다. 우리가 믿고 있는 많은 부처님들은 그 본원을 실천하여 부처가 된 것이다. 또 각각의 부처․보살에게는 저마다 세운 원이 있는데, 이를 별원(別願)이라 한다. 예를 들면 아미타불의 사십팔원(四十八願), 아촉불의 이십원(二十願), 약사여래의 십이원(十二願) 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모든 보살에게 공통되는 서원을 총원(總願)이라 한다. 바로 사홍서원(四弘誓願)이 그것이다. 모든 보살의 서원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리하면 네 가지가 되기 때문에 ‘사홍서원’라 불린다.

①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중생이 아무리 끝없이 많아도 모두 구제하겠다.

②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尽誓願断). 번뇌가 아무리 다함이 없이 생겨나더라도 모두 끊겠다.

③ 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学). 법문이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모두 배우겠다.

④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불도무상서원성(仏道無上誓願成). 부처의 도가 아무리 높고 멀더라도 모두 성취하겠다.

우리는 법회 때마다 위와 같은 사홍서원을 봉창하면서도 그것이 너무 거창하여 그냥 구호로서 내세우는 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는지 모르겠다. 나 자신도 아직 구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모든 중생까지 구할 수 있겠느냐고 생각할 법하다. 그렇다면 그 자기라도 먼저 생각해 보는 게 좋지 않을까. 중국 혜능(恵能)대사의 설법을 기록한 육조단경(六祖壇経)의 설명을 귀담아 듣는 것이 좋겠다.

“중생을 건진다 함은 내가 그대들을 건진다는 것과 같은 뜻이 아니다. …저마다 자기 마음을 스스로 건지는 이것이 참으로 건짐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자기 마음을 스스로 건질 수 있을까? 자기 마음속의 그릇된 소견과 번뇌와 무지를 바른 견해로써 건진다. 바른 견해는 지혜로 하여금 어리석음을 깨뜨리고 스스로 건지게 한다.

그릇됨이 오면 올바름으로, 미혹이 오면 깨달음으로, 어리석음이 오면 지혜로, 악이 오면 선으로 건지는 이것이 참으로 건짐이다. 그리고 번뇌를 끊는다 함은 자성의 지혜로 허망한 생각을 없앤다는 것이고, 법문을 배운다 함은 스스로 성품을 보아 항상 바른 법을 행하는 것이다. 또 불도를 이룬다 함은 항상 마음을 낮추어 참되고 바르게 행동하며, 미혹도 버리고 깨달음에서도 떠나 항상 지혜를 내며, 참된 것도 망령된 것도 없애어 바로 불성(佛性)을 보면 곧 불도를 이루는 것이다.”

역시 차원 높은 설법이지만, 우리가 이해하기에는 사홍서원의 실천을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지 말고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라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결의가 없는 실천은 없다. 그 결의를 항상 다져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 깃들게 할 때, 그것이 우리의 행동을 이끌고 갑옷처럼 우리를 보호할 것이다. 그래서 서원은 ‘소를 잘 부리는 자’ 또는 ‘갑옷’으로 비유된다.

 

 

 

 

 

 

 

 

 

경전의 세계

아함경(阿含經) /편집부



부처님이 살아계실 때는 그 분의 일률적이고도 지혜로운 말씀 때문에 법에 대한 이의(異意)가 없었지만, 돌아가신 직후부터 교단 내의 일부 동청이문자(同聴異聞者)들에 의하여 불법(佛法)이 오도되고 쇠퇴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많은 비구들이 모여서 편찬회의를 하여 만든 것이 오늘날의 경전의 효시이다. 대개 경전은 교훈적인 내용이고, 논전은 철학적이라고 하는데, 특히 이 아함경전군은 그 내용이 담백해서 우리에게 훈시하는 바가 정결한 편이다.

아함이란 범어와 파리어의 Āgama를 중국에서 음사((音写)한 말로서, 이는 도착(到着)․유래(由來)․기원(起原)이라는 뜻과 더불어서 이치(理致)․교법(教法) 및 성언(聖言) 등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의미들을 간추리면 ‘전해 온 것’ 혹은 ‘구전(口傳)으로 전래하여 온 것’ 등으로 이 아함경의 근원을 이해하면 별로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이 경전이 결집한 때에는 마치 부처님이 열반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그에 대한 사모의 정과 그리움이 커서 엄숙한 분위기였고, 한편으로는 망발하는 비구 등이 있어서 많은 참석자들이 비통해 하는 모습도 있었다고 십송율 등에서 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아함경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장아함경(長阿含經)이라고 하여 비교적 긴 경만을 모아서 한 부를 만든 것으로서 이에는 22권에 30경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여러 부처님에 관한 것과 법 및 수행도 등에 관하여 밝힌 네 부분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중아함경(中阿含経)은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는 내용의 것들을 모은 것으로서, 원시불교의 교의 즉 사성제(四聖諦)․12인연(十二因縁) 등과 부처님과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것이다. 승조는 이 전체를 5송(五頌)으로 나누어서 해설하기도 하는데, 60권 222경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잡아함경(雑阿含経)은 다른 경에 들지 아니한 것들을 수집하여 모은 것으로서 내용은 가장 원시불교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설법도 간략하게 고(苦)․공(空)․무상(無常)․무아(無我) 및 팔정도(八正道)를 원형대로 나타내어서 비교적 부처님과 그 제자들의 면목이 뚜렷하게 표현되고 있는 경전이다. 이에는 50권에 1,362경이 포함되어 있다. 증일아함경(増一阿含經)은 1법(一法)부터 11법까지의 법문의 숫자를 따라 편찬된 경전으로서 십념(十念)․5계(五戒)․안반(安般)․삼보(三宝)․사제(四諦)․육중(六重)․팔난(八難) 등의 항목을 기준으로 52품으로 해설되고 있으며, 51권에 472경이 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네 가지의 아 함경전과 파리어 소전의 5NiKāya(部)를 대조하여 보면, 대체로 장아함경은 장부경전(長部経典)에, 중아함경은 중부(中部)경전에, 잡아함경은 상응부(相應部)경전에, 증일아함경은 증지부(増支部)경전에 각각 대응된다고 볼 수 있으며 아 함경전에는 없는 소부경전(小部経典)은 남전(南伝)에만 있는데, 이는 5분률과 마하승기률 및 4분률 등의 북전(北傳)의 율장에서 보면, “잡장(雜藏)이란 이른바 벽지불(辟支仏)과 아라한(阿羅漢)의 자설(自說)과 본행(本行)과 인연(因縁), 이와 같은 것 등 모든 게송을 잡장이라고 한다”라든가 “잡장이란 비고․비구니․우바이․제천(諸天) 등을 위하여 설한 것을 모아서 잡아함이라 한다. 이와 같이 생경(生経)․본경(本経)․선인연경(善因緣経)․방등경(方等経)․미증유경(未曾有経) 등을 모아서 잡장이라고 한다”라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북진의 잡장이 바로 남진의 소부경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겠다. 실제로 소부경전에는 소송(小頌)․법구(法句)․감홍어(感興語 ; 自說經)․여시어(如是語)등 I5가지가 있어서 잡장의 내용과 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이다. 아무튼 네 가지의 아함경과 네 가지의 부는 대체로 상통한데, 이는 어느 한 편이보다 구체적인 체제를 갖추었음에 비하여 다른 한편은 동일한 내용이 간단하게 설명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양쪽이 모두 완전하게 일치되고 있는 곳이 상당히 많으며 혹은 같은 경의 내용이고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을 뿐인 것이다. 이와 같은 아함경전은 그 성립시기상 부파불교시대에 그들의 소의를 세우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니 본래부터 이 경전 내에 소승적인 사상이 깃들어 있어서 그러한 근거가 된 것이 아니고 일부 견강부회(牽强附會)한 학자들이 있어서 그렇게 된 것이다. 말하자면 아함경전은 우리가 쉽게 소승경이라고 해서 폄칭하고 있지만 사실은 대승불교의 사상이 이에 의하여 발로된 것은 이미 아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각 대승경전에서 중요시되는 교리의 내용, 이를테면 오온(五藕)․12처(十二処)․18계(十八界)․I2연기(十二縁起)․사성제(四聖諦)․제법개공(諦法皆空)․무상(無常)․무아(無我) 등의 술어나 개념은 말할 것도 없이 아함경에서 그 어원이 찾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은 본래 부처님의 말씀이고 자체로서는 발전될 것이 없이 토로 된 것이지만, 각 시대의 사람들이 그 시대의 문화 정도의 차이에 의하여 이해와 해석을 다르게 함으로써 교리에 대한 변화발전이 있게 된 것에 연유한 것이다. 이러한 아함경전류에서 중요하게 설파된 내용은 대개 연기사상(縁起思,想)과 사람의 인식에 관한 오온설(五落說)과 감각에 관한 육처설(六処說) 및 실천에 관한 수행도(修行道)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특히 연기(縁起)에 관한 내용을 보면, 이는 부처님께서 성도 시에 터득한 진리로서 원시불교에서 뿐만이 아니라 대승불교에서도 중요시되는 교의인 것이다. 그리하여 중아함경(권7)에서는 이르기를, “만약에 연기법을 알면 곧 법을 볼 수 있고, 법을 볼 수 있으면 곧 연기법을 알 수 있다”(若見縁起 便見法 若見法 便見縁起)고 한 것이나 잡아함경(권12)에서, “연기법이라는 것은, 내가 만든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어느 다른 사람이 만든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저 여래가 이 세상에 출세하거나 출세치 못하더라도 (연기법은) 법계에 항상 존재한다. 여래는 스스로 이 법을 터득해서 정등정각을 이루어서 모든 중생을 위하여 분별 연설하고 개발현시한다”(縁起法者 非我所作 亦非餘人作 然彼如來出世及未出世 法界常住 如來 自覚比法 成等正覚 為諸衆生 分別演說 開発顕示)는 것인데, 이에서 본다면 연기법이 바로 불교교리의 근간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선시(禪詩)

참다운 진리는 /임제선사 임종계



흐르는 물처럼

머물지 않는 이치 무어냐고 묻는다면

참다운 진리는 끝이 없고

형상과 문자를 초월하여

인위적으로 받는 것 아니라고 말하리라

그대!

취모검 쓴 후에 얼른 갈아두거라



沿流不止問如何

眞照無邊說似他

離相離名如不禀

吹毛用後急須磨


 *임제선사(?~867)중국 임제종의 개조(開祖) 현재 우리나라에서 행해지는 선은 대개 임제선풍이다.

**임종계 : 열반하시기 직전 제자들에게 유언처럼 남기는 법어(法語)

 

 

 

 

 

 

 

불심의 창

나의 신앙경험 /홍 윤 식(역사교육과 교수)



사람은 누구나 신앙을 떠나서 살 수 없다. 왜냐하면 사람은 그만큼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교를 생각하는 사람은 각양각색이다. 문명 이전의 사회에서는 다신교적 종교 양상이 성행하였고 인지가 발달한 후에도 그 역사와 배경에 따라 불교, 기독교, 회교 등 각기다른 종교를 발생시켰다. 그뿐이랴. 여기서 또한 수많은 종파가 생겨 서로가 갈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종교적 현실이다.

그러면 이러한 종교적 현실 속에서 “만약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 종교관은 어떤 것이냐.”라고 물어온다면 과연 나는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 분명히 대답할 수 있는 것은 “나의 종교는 불교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어 “왜 불교를 택하게 되었느냐.”고 한다면 그것은 “인연이 그렇게 닿아졌기 때문이다.”라고 할 것이다.

이야기를 이렇게 시작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불교에서는 의문을 풀어나가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경전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좌선을 수행하는 길이다. 교(教)와 선(禅)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교와 선은 제각기 특징을 지녔으며 이들 특징을 서로 고집하다 보면 대립이 생긴다. 우리 역사상 소위 말하는 오교구산(五教九山) 이후의 선․교의 대립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들이 서로 보완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면 보다 바람직한 불교의 발전을 꾀할 수 있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정혜쌍수(定慧双修)니 돈오돈수(頓悟頓修)니 하는 것이 그것이다.

20대에 시작됐던 나의 불교인으로서의 생활은 주로 불교를 학문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즉 불교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 당시에 생각하고 있었던 불교는 전근대적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불합리한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학문적 입장에서의 불교에 대한 관심은 이후 20여 년이나 계속되었고 그러는 동안 불교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에 접근할 수 있었다. 아니 불교야말로 지나칠 정도로 합리적이어서 오히려 이제 종교적인 성격이 희박해지는 듯한 느낌마저 갖게 되었다. 결국 불교를 지나치게 학문적인 대상으로 생각한 나머지 분별지(分別智)에 걸려있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40대의 중반을 훨씬 넘어 50대에 들어서려는 시기에 나의 생애에 있어 잊을 수 없는 중요한 계기를 만나게 되었다. 20대가 꿈 많은 시기였음에 비하여 40대 후반은 일이 많은 시기였다. 지금 생각하면 무던히도 그 많은 일들을 거침없이 해내었다. 학문하는 입장에서, 교육하는 입장에서, 종교적인 입장에서, 때로는 정열을 불사르기도 하였다.

꿈 많은 20대에 그 꿈을 실현하지 못하는 데서오는 갈등이 정신적인 고뇌를 갖게 하였음에 반하여, 일이 많은 40대에서는 그 많은 일들을 무리하게 해내려는 지나친 욕심이 육체적인 고통을 가져오게 하였다. 알고 보면 20대에서나 40대에서나,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다 같이 겪은 셈이지만 20대에서는 정신적 고뇌가 선행하여 육체적 고통을 갖게 하였음에 반하여, 40대에는 육체적 고통이 선행하여 정신적 고뇌를 초래하게된 것이 다른 셈이다.

1982년 7월의 일이다. 나에게는 청천벽력과 같은 선고가 내려졌다. 어쩌면 이 세상과는 인연을 끊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었다. 현대과학의 힘으로도 규명될 수 없고, 따라서 그 치유방법을 알고 있지 못한 무서운 질병이 나를 찾아왔다는 것이다. 보통 우리는 다정한 친구끼리 서로의 고뇌를 털어놓고 그 고뇌를 서로 나누려 한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살아가노라면 크고 작은 고통을 겪으면서 그를 극복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면서 초년고생은 사서도 한다느니 하며, 제법 고뇌를 미화하려 한다. 이와 같은 고뇌를 나도 50 평생을 살면서 수없이 겪어왔다. 그리고 그 고뇌 뒤에 오는 자그마한 환희 같은 것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죽음에 직면한 고뇌는 그런 것이 아니었다. 한 마디로 말하면 절망 그것이었다.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고 눈앞이 캄캄해지고, 말할 수도, 걸을 수도 없고 한동안 시간만 흐르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다 한참이 지난 후에 야자 신을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지금까지 분별지로만 활동하고 있던 불지(仏智)가 커다란 절망과 고뇌라고 하는 계기를 만나 나의 전신을 움직인 것이다, 그것이 생명이라고 하는 것일까, 불지(仏智)라고 하는 것일까. 이윽고 자신의 육신을 일으켜 세울 수 있었고, 흩어진 마음을 다시 한 번 가다듬을 수 있었다. 그리고나서 “나무관세음, 나무관세음보살, 나무관세음보살,,.”하고 관세음보살에 매달려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것은 숱한 고난을 겪고 살아온 생활의 의지, 그것은 아니었다. 즉 의지의 소산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참회와 감사의 찬탄이 있었을 뿐이었다.

병원 생활이 시작되었다. 한편으로는 과거에 기대를 걸고 싶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어찌된 일인가, 한쪽에 기대를 걸면서 일어나는 생사의 엇갈림, 다시 고뇌가 크게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살고 싶다는 의욕이 불꽃같이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살고 싶은 의욕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불안과 고뇌는 더욱 커가기만 하였다. 그러나 다행히도 여기서 나의 두 번째 신앙생활의 계기를 만나게 되었던 것이다. 날이면, 날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기도에 전념하는 일과가 시작되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나무관세음보살.......” 수술이 끝난 뒤 마취가 깨면 통증이 시작된다. 진통제를 맞아야 견딜 수 있다. 의사가 진통제를 놓아주면서 “이것을 맞지 않으면 더 빨리 회복되는데.....”한다. 그래서 “그래요? 그러면 다음부터는 진통제를 놓지 마시오.” 그러면서 견디어 볼 생각을 했다, 드디어 통증이 시작되었다. 지옥의 불바다 같은 아픔! 그 아픔을 견디기 위하여 “관세음보살......관세음보살.......” 처음에는 아픔을 단순히 참고 견디기 위한 방편으로 그냥 입으로만 관세음보살만을 단순히 되뇌이게 되었는지 모른다. 그러다가 얼마 동안 지났는지, 어떻게 보면 마군이로 생각되고 어떻게 보면 팔부신장으로 생각되는 무리가 떼를 지어 나타나더니 나의 머리를 땅에 처박고 밟기 시작한다. 그러기를 한동안 지났다. 나는 이 같은 사실을 아상을 버리라고 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너의 아상을 버려라, 아상을 버려라.” 하는 신장들의 소리가 귀에 쟁쟁 울려오는 것이었다. 마음속으로 오체투지를 하였다. 아상을 버리는 길이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참회를 계속하였다. 어떤 격식을 갖춘 참회가 아니라 무조건 자신을 반성하는 것이었다.

지난날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 뭇 사람의 얼굴이 떠오른다. 그 많은 얼굴들에게 모두 지난날의 나의 잘못을 고백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내가 잘한 것은 하나도 없다. 모든 것 이 내가 잘못한 것뿐이었다. 그러나 참회가 있을 따름이었다. 자신에게서 잘못을 찾고 그 잘못을 참회하게 되면, 남들은 모두가 잘한 것뿐 이었다. 그러니 거기에는 감사하는 마음이 생기고 찬사를 보내게 될 따름이었다, 담당 의사가 고마운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담당 간호원들, 나를 찾아준 모든 사람들..,.,. 그뿐이랴, 한 방울의 물과 허공에 가득 찬 공기에 이르기까지 나를 둘러싼 모든 사람들과 자연 현상들이 감사의 대상으로 가슴 깊게 스며들었고, 그러기에 그 모든 감사의 대상들에게 나도 모르게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아 상을 버리게 되면 이렇게 편한 것을, 재물욕도 명예욕도 모두 사라졌다. “오직이 목숨만을 건지게 하여 주십시오.”하는 염원이 있을 따름이었다.

수행이 철저하고 신앙이 돈독하면 생명에 대한 애착마저 버릴 수 있다는데, 솔직히 말하자면 그러지는 못하였다. 더 살고 싶었다. 이 같은 신앙생활을 공리적인 것이라 할지 모른다. 살고 싶은 일념으로 일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러한 계기를 통하여 신앙에 대한 나의 확신이 분명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기에 참회의 뜻을 잘 알 수 있었고, 감사하는 마음을 일으킬 수 있었고 찬불(讃仏)의 참뜻이 어떤 것인가를 가슴깊이 새겨볼 수 있었다. 결국 참된 신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어떤 계기를 만나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앞에서 불교를 믿게 된 동기가 인연을 따른 것이라 하였음은 이를 두고 한 말이었다. 부처님도 인연이 없는 중생은 구제할 수 없는 것이라 하셨다. 그리하여 불교에서는 인연 맺는 것을 가장 중요한 일로 생각한다. 어떻게 생각하면 불교에 입문하는 계기는 인생의 고뇌를 절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소승불교의 인식론이라 할 수 있는 구사론(倶舎論)에서 여러 가지 지옥의 양상을 묘사하고 인생고(人生苦)를 강조하고 있음은 바로 그와 같은 뜻을 전하려 하였던 것이라 생각된다.

 

 

 

 

 

 

 

불자탐방

일상생활 속의 수행 유인수거사 /편집부



약속시간에 늦어 허겁지겁 학적과로 찾아든 기자에게 유인수 거사는 자신이≪정각도량≫에 소개될 만한 인물이 아니라는 말과 함께 넉넉한 웃음으로 맞아주었다.

유거사의 댁은 경주캠퍼스에서 그리 멀지 않은 황성동에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선 실내는 정갈한 분위기가 잔잔히 흐르고 있다. 부인 이미경 보살의 부지런함만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거사에게 있어 어머니는 각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 같다. 절에 불공을 드리러 갈 때마다 유거사를 데리고 가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불자가 되었고, 졸업 후 교직원이 된 결정적 이유도 어머니 때문이다.

유거사는 전북 정읍이 고향이다. 그 곳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유거사는 서울의 모대학에 원서를 내보았지만 번번이 떨어졌다고 한다. 좌절의 나날을 보내던 유기사가 친구의 도움으로4수만에 입학한 곳이 본교 사범대국어교육과였다.

유거사가 졸업하던 해 어머니가 중풍으로 쓰러지셨다고 한다. 당시 부모님의 소원은 3남매 중 막내의 유거사가 대학을 무사히 졸업하고 취직해서 결혼하는 소박한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는 취직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전공에 걸맞지 않은 사시공부에 열중해 있었다고 한다. 결혼도 생각에 없었음은 물론이다,

반신불수의 어머니를 한달 반 동안 여관에 기거하면서 간호한 유거사는 생각을 바꾸었다고 한다. 부모는, 주위에 항상 존재할 때는 별로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없으면 그 소중함을 절실히 깨닫게 되는 공기와 물과 같은 존재라는 생각이었다고 한다. 부모에 대한 효도의 중요함을 절감한 유거사는 부모님의 뜻을 쫓아 본교 직원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지금 유거사는 부모님을 모시고 있다.

유거사와 대화를 나누면 행동 하나하나, 말 한 마디 한마디마다 그만의 온화한 기품이 듬뿍 묻어 나옴을 느낄 수 있다. 그러한 기품은 천성도 고와야겠지만 스스로를 가다듬고 채찍질하는 끊임없는 수행력만이 그것을 뒷받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유거사의 첫 인상은 그의 말대로 썩 좋은 편이 아니다. 얼굴선이 날카롭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사람을 대하는 유기사의 얼굴에서는 그러한 모습을 조금도 찾을 수 없다. 외모에서 풍기는 날카로움을 그의 온화한 기품이 상쇄해 버렸기 때문이다.

유거사는 오즘 100일 기도 중이다. 비록 불전에서 행하는 기도는 아닐지라도 그의 기도는 자못 진지하다. 아침, 저녁으로 한두 시간씩 관세음보살을 염하면서 하루의 시작과 끝맺음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 유거사에게 마음의 평화로움이 깃들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이다.

유거사는 절에서 공부하던 시절 새벽이 열리는 모습을 날마다 지켜보았다고 한다. 새벽이 열릴 때는 말이 없다. 조용히, 그리고 서서히 새로운 아침을 맞이한다. 그 새벽의 정적을 가르는 첫소리가 ‘지심귀명례(至心帰命礼)’로 시작되는 예불문이다. 자신의 목숨을 오롯이 바쳐 귀의한다는 그 한마디를 유거사는 마음속 깊이 지니고 있다. 유기사가 하루하루의 일상을 시작하고 맺는 지극한 마음가짐이기 때문이다.

유거사는 논산 영주사의 진오스님에게서 모든 종교가 불교의 중도사상에 융화된다는 의미로 ‘중원(中原)’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어느 한 곳에 치우침이 없이 여법하게 하루하루를 정진해 가는 유거사에게 걸맞은 법명이라고 생각되었다.

유거사는 지난해 9월에 창립한 직원 불자들의 모임인 ‘문수회(文殊会)’에서 총무직을 맡고 있다. 직원 불자들의 불심을 돈독히 하고 상호간의 화합을 다지며 학교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결성된 이 모임에 그는 발기문의 초안을 작성하는 등 창립에 깊숙이 관여했다.

총무는 회장직의 임명직이라며 극구 자신의 역할을 감추는 유거사를 보면서 ‘문수회’가 진정 뜻있는 모임으로 자라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유거사에게는 소원이 있다. 부모님이장수하고,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고, 연이 닿는다면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싶다는 소박한소원이다. 누구나 다 가지고 있을 법한 원을 그도 함께 가지고 있다. 유거사는 특별나게 드러나는 사람이 되길 원하지 않는다. 단지,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상식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이 어렵듯이 그런 삶을 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이 시대의 한 불자이기를 원하는 것이다.

취재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문득 일연스님이 지은 ≪살국유사≫의 <광덕엄장(広徳厳荘)>조를 떠올렸다.

속세에 살면서도 아미타불을 염하고 16관(十六観)을 지어 수행했다는 재가 불교의 표상인 광덕,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살아간다는 것은 일면 고행의 연속이겠지만 일상생활 속에 배어 묻어나오는 수행이라면 그리 힘들 것도 없을 것이다. 유인수거사의 일상은 바로 그런 것이고 흡사 광덕과 같은 수행을 하는 불자였다.

 

 

 

 

 

 

 

 

신행단체

동국대학교 보현회


동국대학교 보현회(普賢会)는 서울캠퍼스 교직원 불자들이 불교연수와 보살토의 실천을 통하여 건학이념의 구현과 동국발전에 이바지한다는 취지 아래 지난 I990년 10월 18일 창립되었다.

보현보살의 10대행원을 거울로 삼아 캠퍼스 내에 새로운 불교운동을 주도하는데 앞장서고 있는 보현회의 자랑은 신심증장과 실천불교에 있다.

현재 1백여 명에 이르는 회원들이 매월 정기법회와 국보사찰참배를 갖고, 매주마다 ‘보현의 날’ 행사를, 그리고 수시로 바라밀 실천운동을 실시하고 있다.

창립이후 매월 둘째 금요일에 갖고 있는 정기법회는 정각원장을 지도법사로 하여 예불을 올리고, 설법과 선 수련 등으로 심신을 청정하게 하고 있으며, “나보다 남을, 우리보다는 전 인류를 위하여”라는 보살정신으로 학교발전에 심혈을 경주하고 있다.

전국 주요사찰을 대상으로 매월 1회씩 갖는 국보사찰 참배는 지난 9월 18일의 강화 전등사까지 21회째를 기록, 사찰과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물론 학교를 알리는 홍보에도 큰 몫을 해오고 있다.

특히 금년부터는 매주 토요일을 ‘보현의 날’로 정해 놓고 서울 근교의 산과 사찰 등을 찾아 문화재보호는 물론 자연보호운동과 포교운동에 여가를 쪼개어 적극 나서고 있다.

즉, 9월말 현재 16회째를 맞고 있는 ‘보현의 날’ 행사는 사찰 입구, 약수터, 등산로,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찾아 부처님 말씀이나 금언이 담긴 페넌트를 걸어놓아 포교와 학교소개를 겸하고 있는 것이다. 또 고통을 받고 있는 이웃을 찾는 일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양로원이나 보육원을 방문하여 아픔을 함께 나누고 있으며, 재활용품이나 옷, 생활용품 등을 모아 이웃에 전달하는 등 물자절약에도 앞장서고 있는 것도 보현회의 실천운동이다.

뿐만 아니라 전 회원들이 남산 등산로 주변이나 구석진 곳의 휴지를 줍는 등 캠퍼스 가꾸기에 적극 나섬으로써 학내 구성원의 조그만 애교심까지도 자극하고 있다.

우리와 뜻을 같이하는 경주캠퍼스의 교직원 신행단체인 ‘문수회’와는 지난 6월 남해의 보리암과 쌍계사에서 합동법회를 가져 더욱 의의가 있었다.

한편 지난해에는 [普賢]회지가 창간되어 중립대학에 재직하는 불자들의 위상을 내외에 드높이는 역할을 하였으며 제2호도 연내 발행을 서두르고 있다. 보현회원들은 앞으로도 강한 소속감으로 목멱산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한다는 자부심을 키워가며 불서 보내기, 보현장학회 결성 등을 목표로 동국 제일의 불심을 키워 나갈 것을 다침하고 있다.

☞초대임원

(1990.10.18~1992. 11. 12)

회    장 : 박경훈(역경원 편집부장)

부 회 장 : 박동기 김용철

감    사 : 윤범대 박환오

사무국장 : 구태회


☞2대 임원

(1992.11.13~현재)

회    장 : 박동기(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본부장)

부 회 장 : 김용철 이시우

           손상길 류종기

           이병천 윤장옥

감    사 : 차준환 임규빈

사무국장 : 이익상

전등이야기


인과에 어둡지 말라(不昧因果)

편집부



≪무문관(武門關)≫ 2則에 보면, 백장회해(百丈懷海, 720~814) 스님이 설법을 하는데 매번마다 한 노인이 구석에 앉아서 경청하였다. 그런데 어느날 모든 대중이 밖으로 나간 뒤에도 그 노인은 그대로 있으므로 百丈스님이 물었다.

“그대는 어디에 사는 누구시요.”

노인이 대답하기를

“저는 사람이 아닙니다. 저는 가섭불시대때 이 百丈산에서 수도하던 승려였는데 어느 날 젊은 수좌가 묻기를 「수행을 많이 한 사람도 인과에 떨어지지 않습니까?(不落因果)」라고 하기에 제가「인과에 떨어지지 않는다(不落因果)」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때 잘못 대답한 그 고보로 500생 도안 여우의 몸을 받아 이 산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러하니 저를 해탈케하여 여우의 축생보를 벗어나게 하여 주십시오.”

이를 들은 백장스님은

“그러면 그대의 과보를 벗게 하여 줄터이니 그대가 나에게 다시 물어라.”고 하였다.

그랬더니 그 노인이 묻기를

“수행을 많이 한 사람도 인과에 떨어집니까”라고 했다. 그 때 백장은

“인과에 어둡지 않느니라(不眛因果).”고 하였다. 이 소리를 들은 노인은 크게 깨달아 여우의 몸을 벗었으며, 백장스님은 이튿날 대중을 데리고 산에 올라가 여우의 시신을 화장해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불교에서 중생이 육도를 윤회함에 있어서 가장 큰 쇠사슬은 인과의 고리이다. 이 인과응보의 고리를 끊기 위해 수행하며 해탈을 구한다. 그러면 우리가 인과의 틀에서 벗어날 수는 없을까? 우리는 인과의 원리를 몰랐을 때 자기가 한 행위에 대해서는 까맣게 잊어버리고 남을 원망하고 괴로워한다. 인과의 원리는 한치의 오차도 없다. 여기에 오차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자신이 한 일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책임져 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자신의 다겁생의 인과를 알고 받는 것과 여기에 어두워 전혀 모르고 받는 경우는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인과에 어둡지 않고 원인에 대한 결과를 알고 있었을 때 받는 충격도 훨씬 줄어들 것이며, 그 결과를 달게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어떠한 일이 닥쳐왔을 때 그 결과를 자기 것으로 수용하므로 모든 잘못을 남의 탓으로 돌리지 않고 자기 탓으로 여길 것이다. 다시 한번 인과에 어둡지 않도록 노력하자(不眛因果).

 

 

 

 

 

 

 

 

비유와 설화

어떤 여인의 기구한 인연 이야기 /편집위원



지혜의 눈을 떠 아라한(阿羅漢)이 된 미묘(微妙)비구니는 자기 자신의 기구한 인과관계(因果関係)에 대하여 담담하게 말하였다,

“나는 원래 어떤 바라문(제사장)의 딸로 태어났다. 재덕을 겸비한 분이었다. 이웃 고을의 재덕을 경비한 바라문의 총명하고 인자한 아들의 눈에 띄어, 그는 내 미모에 이끌리어 청혼하였고 이내 가정을 이루어서 한 아들을 낳았다. 그 후 시댁 부모들은 잇따라 돌아 가셨다. 그때 나는 둘째 아들을 배었다. 남편과 의논한 끝에 친정에 가서 해산을 하기로 하였다. 친정으로 가던 도중 갑자기 진통이 와서 나무 아래에 자리를 폈다. 그날 밤에 아기를 낳았다. 조금 떨어진 곳에서 곤히 잠든 남편을 독사가 물어 죽였다. 이런 사실도 모르고 나는 새벽녘에야 겨우 일어나 남편을 깨우려고 가까이 갔다. 독사의 독이 온몸에 퍼져 죽어 있는 남편을 보고 나는 그 자리에서 기절을 했다. 아버지가 죽은 것을 보고 큰아이는 소리를 내어 울부짖었다. 나는 그 소리에 정신을 차리고 일어나 큰아이를 등에 업고 갓난아이를 품에 안고 울면서 길을 떠났다. 길은 멀고 험한데 사람의 자취는 보이지 않았다. 도중에 큰 강이 있었는데 수심이 깊고 폭이 넓었다, 큰아이는 강가에 내려두고 먼저 갓난아이를 업고 강을 헤엄쳐 건넜다. 언덕에 올라 나무 밑에 갓난애를 내려놓았다. 이때 강 건너에서 큰 아이가 엄마를 부르면서 강물로 들어오다가 그만 물에 떠내려가고 말았다. 급히 강물에 뛰어 들었으나 거센 물결에 아이는 구할 수 없었다. 다시 기슭에 올라와 갓난애한테 돌아오자 늑대가 갓난아이를 먹어버린 뒤였다. 나는 또다시 기절했다가 얼마 만에 깨어났다.

나는 얼이 빠져 미친 듯이 걸어갔다. 도중에 한 바라문을 만났는데 그는 친정아버지의 친구였다. 슬픔에 복받쳐 통곡하고 지난 일들을 이야기했다. 친정소식을 물었는데 며칠 전에 집에 불이 나서 부모와 동생들이 모두 타죽고 말았단다. 이 비통한 소식에 또 까무러치고 말았다. 눈을 떠보니 아버지 친구 바라문의 집이었다, 친자식처럼 보살펴주었다,

그러던 중 이웃에 살던 바라문이 고운 내 얼굴을 보고 아내 되기를 청해 의지할 곳 없는 나는 어쩔 수 없이 가정을 꾸몄다. 그러나 그는 술고래였고 술만 마시고 오면 망나니가 되어 학대를 하였다. 더 참을 수 없어 어느 날 도망을 쳤다. 바라나시(베나레스) 성밖의 한 나무 아래에 머물고 있었다. 그때 그 고장의 한 부호의 아들이 사랑하던 아내를 잃고 못 잊어하면서 날마다 무덤을 찾아와 애통해 하였다. 그는 몇 차례 나와 마주치더니 내게 새 아내가 되어 달라고 간청했다.

나는 그의 뜻에 따랐다. 그는 지극하게 나를 사랑해 주었지만 얼마 안 되어 병들어 죽고 말았다. 그 고장에서는 미망인은 무덤에 묻히도록 되어 있었다. 나는 무덤에 묻혀 죽을 때를 기다리고 있는데, 밤이 되자 도둑이 와서 무덤을 파고 구출해 주었다. 나는 도둑의 아내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며칠이 안 되어 도둑은 붙잡혀 사형을 당했다. 나는 내 자신의 기구한 신세를 한탄했다. 전생에 무슨 죄를 얼마나 지었기에 이처럼 고통을 받으면서 살아야 하는가. 이제는 어디에 의지해 남은 목숨을 부지할 것인가. 이때 문득 언젠가 들은 이야기가 떠올랐다. 석가족의 아들이 고행 끝에 부처님(Buddha:覚者=聖人)이 되어 과거와 미래의 일을 훤히 안다고.

나는 곧 기원정사(祗園精舎)로 갔다. 나무에 꽃이 활짝 핀 듯, 별 속의 달과 같은 부처님의 모습을 멀리서 보았다. 부처님은 내 곁으로 걸어 오셨다. 나는 그동안 겪은 일들을 낱낱이 말씀드리고 나서, 저를 가엾이 여겨 수행자가 되게 허락해 달라고 애원하였다.

부처님은 시자 아난다에게 말씀하셨다. ‘이 여인을 데려다 고타미에게 맡기어 계법(戒法)을 일러 주게 하라.’ 나는 고타미 밑에서 비구니가 되었다. 네 가지 성스런 진리(四聖諦)와 인생은 괴로움이라는 것, 모든 것은 공하고 무상하다는 것을 배웠다. 나는 부지런히 정진하여 마침내 아라한이 되었다. 그래서 자신의 과거와 미래를 모두 알 수 있었다. 내가 현세에서 받은 고통은 말로 다할 수 없지만, 그것은 오로지 전생에 내가 지은 업의 갚음으로 털끝만치도 어긋남이 없는 것이다. 곁에서 이 기구한 사연을 듣고 있던 비구니들이 물었다.

“전생(前生)에 무슨 죄업을 지었기에 그토록 견디기 어려운 재앙을 당하셨는지 설명해 주십시오.” 미묘 비구니는 다시 말문을 열었다.

“자세히들 들으시오. 지난 세상에 한 부자가 있었소. 그는 재산은 많았지만 아들이 없어 작은 부인을 두게 되었소. 지체는 낮은 집 딸이지만 용모가 아름다워 부자는 그녀를 몹시 사랑했소. 게다가 사내아이를 낳았소. 부자와 작은 부인의 기쁨은 아주 말할 수 없었지요. 이때 큰 부인은 시샘이 나서 이런 생각을 했소. ‘나는 비록 귀한 문벌의 출신이지만 이 집안을 이을 자식이 없다. 이제 저 아이가 자라나면 이 집안의 재산을 모두 상속받게 될 것이다. 그때 내 처지는 어떻게 될 것인가.’ 여기에 생각이 미치자 큰 부인은 질투심이 치솟아 아이가 자라기전에 일찍 죽여 버려야겠다고 결심하게 되었소. 그리하여 그 아이의 정수리에 바늘을 깊이 꽂았었소. 아이는 자꾸 말라 가다가 열흘쯤 지나 마침내 죽고 말았소. 작은 부인은 너무 애통하여 미칠 듯 하였소. 그리고 아이가 죽은 것은 틀림없이 큰 부인의 소행이라고 단정하고 이렇게 추궁하였소.

‘당신이 우리 아기를 죽였지요?’ 큰 부인은 펄쩍 뛰면서 이런 맹세를 하였소. ‘만일 내가 그대 아이를 죽였다면 다음 생에 내 남편은 독사에 물려죽고, 거기서 낳은 자식은 물에 빠져 죽거나 늑대에 잡아먹힐 것이오. 나는 산채로 묻히고 내 부모형제는 불에 타죽을 것이오. 이래도 나를 의심하겠소?’ 그때 그 부인은 죄와 복의 갚음이 없다고 생각하여 그와 같이 맹세를 하였던 것이오. 그러나 지금 다 그대로 받으면서 아무도 대신할 사람이 없습니다. 알고 싶습니까? 그때의 그 부인이 현재의 바로 이 몸입니다. 지금 나는 다행히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 아라한이 되었지만 항상 뜨거운 바늘이 정수리로 들어와 발바닥으로 나가는 듯한 고통을 밤낮으로 겪고 있소. 재앙과 복은 이와 같이 결코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기구한 인연이야기를 하였다. 세상만사는 인연에 의한 인연의 것이고 악연은 악연으로 선연은 선연으로의 인과응보의 놀랍고 끔찍한 일임을! 명심하라.

나무관세음보살

 

 

 

 

 

 

 

 

 

일주문

멈추시오, 멈추시오! /이 봉 춘(불교학과 교수)



우리 대학 캠퍼스 중앙에는 중후하고도 자비 넘치는 모습의 청동불상이 동국의 이미지를 상징하듯 서 계신다. 오른손을 어깨 높이 쯤 들고 왼손은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 손바닥을 보이고 있는 이 석가모니 부처님상의 수인(手印)은 시무외여원인(施無畏与願印). 즉 그 손의 모습은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에 번뇌와 두려움을 없애고 평화를 베풀어 주는 동시에 원하는 바를 모두 얻게 하려는 표상이다.

이처럼, 모든 불․보살상은 거의 대부분이 각기 다른 인(印: mudrā)을 맺고 있다. 불보살의 깨달음과 덕, 그리고 그분들의 본래 서원을 손의 모습으로 다양하게 나타내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진언․밀교의 영향을 반영하는 이 같은 인계(印契)는 특히 북방불교권에서 다양하게 발달해 왔다.

이에 비해 남방불교의 불상들에 나타나는 인계는 비교적 단조로운 편이다. 선정인(禅定印)이나 설법인(說法印)같은 수인들이 있기는 하지만 북방의 그것에 비해 소박하다고나 할까. 그런 불상들 가운데 손바닥을 위로 세워 두 팔을 앞으로 쑥 내밀고 있는 부처님상은 매우 이채롭다. 이 희귀한 손동작은 수인이 아니라 곧 부처님의 간곡하신 뜻이며 살아있는 말씀이다.

부처님 당시, 로히니강을 사이에 두고 농사를 지으며 살던 샤아카족과 콜리족 사이에 물싸움이 벌어진 적이 있었다. 오랜 가뭄으로 물이 마르자 두 종족은 서로 강물을 많이 끌어 대려고 하다가 그만 큰 싸움으로 번지고 만 것이다. 탁발 나갔던 제자들로부터 이 소식을 전해 들으신 부처님은 급히 그들에게로 달려 가셨다. 그리고는 자칫 사람이 죽게 될지도 모르는 격한 싸움판의 중간에 서서 그들을 만류하셨다. 일단 성난 사람들을 진정시킨 부처님은 「물이 중요한가, 사람이 더 중요한가」를 물으시고, 물 때문에 사람을 상하게 하는 일이 얼마나 어리석은가를 차근 차근 일깨우셨다. 두 종족은 부처님의 간곡하신 말씀을 듣고 저마다 부끄러워하며 물러났던 것인데, 앞으로 두 팔을 내밀고 있는 불상은 바로 그 때의 부처님 모습이다. 샤아카족과 콜리족 양편에 대고 「멈추시오, 멈추시오!」를 외치시던.

부처님 당시에도 두 종족이 서로의 이익 때문에 싸움을 벌이고 있지만, 개인이든 집단이든 이익을 위한 싸움은 어느 시대나 있어왔다. 그러나 요즈음 우리 사회에 만연되고 있는 이익집단들의 투쟁을 보면서는 착잡하기 그지없다.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다루는 한의사와 약사들의 끝 모를 대결, 곳곳에서 발생하는 집단시위, 결국 국민 모두가 피해자가 되고 말 이른바「님비」 현상에 이르기까지, 두 팔을 내밀고 「멈추시오, 멈추시오!」를 외치며 물이  중요한가 사람이 더 중요한가를 물으시던 부처님의 간곡한 말씀이 더욱 가까이 들리는 것만 같다.

 

 

 

 

 

 

 

가람의 향기

기림사 /편집부



기림사(祗林寺)를 향해 가는 길은 호반의 운치와 깊은 산악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다. 감포를 향한 국도를 따라 숨을 헐떡이며 고갯길을 오르면 물안개에 싸인 덕동호의 푸른 물결과 황룡계곡의 시원스런 물줄기를 가슴 가득히 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길을 달리며 세파에 찌든 우리의 마음을 깨끗이 씻어 내릴 쫌이면 차는 어느덧 감포 가도의 막바지인 추령(楸嶺)에 다다른다,

추령은 불국사와 석굴암이 자리한 토함산(土含山)의 정기를 받아 기림사가 위치한 함월산(含月山)에 전해주는 고개다. 가레동재라고도 불리는 이 고개는 그래서 우리의 가슴을 더욱 설레게 한다.

기림사는 행정구역상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개의 천년 고찰이 그러하듯 기림사 또한 옛 명성에 비해 그리 화려하지 않은 모습으로 우리를 맞이한다.

․창건

기림사는 선덕여왕 20년(643)에 인도에서 온 광유(光有)라는 스님에 의해 창건되었다. 창건 당시의 이름은 임정사(林井寺)였는데, 장군수(将軍水)라는 샘을 메워 금당을 세웠기 때문에 부쳐진 이름이다. 후에 원효스님이 절을 중건하면서 부처님 재세 당시의 사찰인 기원성사 (祗園精舎)의 이름을 따서 기림사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창건 설화는 역사적 고증이 어려워 <기림사 중창기>나 <기림사 사적기>의 기록대로 선덕여왕 대에 창건되었다고 단정짓기는 힘들다. 다만, 《삼국유사》<만파식적 (万波息笛)>조에 “왕이 감은사에서 자고 17일에 기림사 서쪽 시냇가에 이르러 수레를 멈추고 점심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 초기에는 이 절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사격

기림사는 한때 불국사를 능가하는 대가람이었다. 이 사실은 세종이 불교의 7개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통폐합하는 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세종은 경북지역에서는 하나밖에 없는 선교 영종의 본사로 기림사를 지정하면서 원촉전결(元属田結) 100결과 가급전결(加給田結) 50결을 하사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로 가면서 더욱 강화되는 억불정책으로 기림사의 사운은 차차 기울게 된다. 이에 승속은<염불계 (念仏契)>를 조직하여 전답을 매입하는 등 사운의 회복을 위해 피나는 노력을 기울이기도 한다.

근대 기림사의 사격은 이능화(李能和)가 지은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教通史)》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제는 조선불교의 침탈을 위해 사찰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한다는 미명 아래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에 31본산을 지정한다. 《조선불교통사》는 당시 경북지역에 소재한 5개 본산을 거론하고 있는데 동화사, 은해사, 고운사, 금룡사와 더불어 기림사도 여기에 포함된다.

그러나 기림사의 사격은 1962년 4월 조계종이 발족하면서 본사의 자리를 불국사에 넘겨줌으로써 격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함월산 유역은 삼국통일을 이룩한 문무왕과 깊은 관련을 맺은 곳이다. 그는 죽어서는 용이 되어 왜구로부터 나라를 지키겠노라는 원력을 세웠다(《삼국유사》<문호왕법민>조). 그러한 그의 염원은 대왕암과 감은사지, 만파식적의 전설로 오늘까지 전하고 있다. 함월산 지역은 왜구가 침략할 때 경주로 들어오는 최단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만큼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기림사는 그런 까닭에 한때 울산에 근거를 둔 좌병영의 지휘를 받는 승군의 본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경내의 진남루(鎮南楼)는 승병의 훈련장으로 쓰였던 곳이다.

․유물

기림사의 본전인 대적광전은 선덕여왕 대에 창건되어 내려오던 것을 조선 인조 대에 중건한 것으로 중건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에 장방형 평면을 이룬 단층 건물로 맞배지붕에 다포양식을 취하고 있다.

기림사의 건칠보살좌상은 몇점 전하지 않는 우리 나라건칠불상의 대표작으로 반가사유상을 취한 점이 특이하다. 이 불상은 목조대좌에 묵서명(墨홀銘)이 있어 조성연대가 연산군 14년인 1501년임을 알 수 있다.

건칠불상은 종이나 천 같은 것으로 불상을 만든 후 옻칠을 하고 그 위에 도금을 한 불상을 말한다.

대적광전에는 대좌 없이 결가부좌로 앉은 비로자나 삼존불이 있다. 이중 본존불인 비로자나불의 복장에서 54건 71책의 전적이 발견되었다. 이 전적들은 11세기의 목판본과 사경에서부터 17세기 목판본에 이르기까지 간행시기가 각기 다르고 형태가 다양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비로자나삼존불은 복장물 중에 17세기 목판본이 있고 대적광전이 17세기 건물인 점으로 미루어 보아 17세기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밖에도 기림사에는 최근 신라시대 사경으로 확인된 《도행경(道行経)》과 《대불정능엄경(大仏頂楞殺経)》과 목탑지, 석조 치미, 문적(文籍), 목비, 어필 등이 전한다.

 

 

 

 

 

 

불서산책

조선불교유신론(朝鮮仏教旅新論) /편집위원



이 책은 만해(万海) 한 용운(韓竜雲) 선생(1879~1944)이 그의 31세 때에 썼지만 출판된 것은 3년 후인 1913년이었다. 그 당시 즉, 1900년대의 불교계 내부의 문제들을 한 청년불자의 눈으로 파악해서 해결하려는 일종의 계몽서라고 볼 수 있겠다. 다시 말하자면, 만해는 일찍이 우리 불교계를 유신(維新)하려는 문제에 뜻을 두고 얼마간 마음속에서 그 성취될 가능성을 기대하였으나,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실행치 못하고 구구한 문자를 통하여 불교의 신세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심정의 토로는 그 당시의 불교계를 보는 그의 안목 즉, “만약 불교가 장래의 문명에 적합지 않을 경우에는, 죽음에서 사람을 다시 살려내는 술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불교를 유신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술회한 데서 그의 유신의 변을 짐작할 수 있으며, 유신이란 파괴의 자손이고, 파괴는 유신의 어머니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하여 언급하기를, “대개 파괴라고 해서 모든 것을 무너뜨려 없애버리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과거의 관습이 불합리할 때에 그것을 뒤집어서 새롭게 나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파괴라고 하지만 파괴가 아니다. 훌륭한 유신이란 훌륭한 파괴이니, 파괴가 높으면 유신도 늘고, 파괴가 빠르면 유신 또한 빠르며, 파괴가 적으면 유신도 적고, 파괴가 크면 유신도 역시 크다. 유신의 정도는 파괴의 정도와 비례한다. 유신하는데 있어서 가장 먼저 착수해야 할 것은 바로 파괴 그것이다.”라고 하여, 유신하려는 그의 의지를 강렬하게 잘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안목과 서원이 이 책의 전체의 주제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책의 목차를 보면 서문과 결론을 포함해서 17가지의 주제로, 이 중에는 ‘승려의 교육’․‘염불당의 폐지’․‘불가(佛家)에서 숭배하는 소회(塑絵)’․‘승려의 인권과 생산’․‘불교의 장래와 승려의 결혼문제’ 등 그 당시로서는 생각할 수 없는 불교계 내부의 문제들을 중점적으로 거론해서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주제들의 근본이념은 불교 그 자체에 종교적인 성질로써, 희망이 있기 때문으로서 이 희망은 모든 미신적인 것을 타파하고 지혜를 지닌 중생이 날로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원동력이 되게 한다는 것이다. 철학적인 성질로써는 마치 철학자가 진리를 추구하듯이, 종교이면서 철학인 불교를 신앙하는 것은 곧 진리의 세계를 갈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를 참구하면 일거양득의 이득이 있는데, 이러한 이념들이 전 주제에 걸쳐서 기본사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념들의 표현이 주제에도 잘 나타나서 ‘염불당의 폐지’나 ‘불교의 장래와 승려의 결혼문제’라는 논제로 쓰여진 것이 아닌가 한다.

이 책은 원래 국․한문혼용이지만 국문으로 번역되어 삼성문고(18)로도 발간되었고(1972), 민족사에서 이원섭 선생의 번역으로 1983년에 원문과 함께 출판되기도 했다.

 

 

 

 

 

동국과 불교2 명진학교시대①

한밭불교계와 명진학교의 여명 /편집위원



조선왕조의 줄기찬 억불정책은 한말에 이르러 상당한 변화의 모습을 보이거니와, 이는 무엇보다도 국내외 정세 및 사회의 상황변동에서 기인한다. 즉 임진란 이후 천주교 등 서양문물이 전래하는 한편 실학․북학 등 새 학문이 일어나고, 또한 동학교가 일어나 종래 주자학적인 전통의 봉건윤리와 인간가치에 대한 반항을 시도하는 경향이 일어나게 되자 조선봉건사회는 크게 동요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자극을 받은 위정자들은 종교정책면에서도 그 태도를 크게 바꾸어 종래 억압으로 일관해온 불교에 대해 새로운 정책을 취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정조․순조․헌종․철종 등은 사찰의 과중한 부담이던 잡역을 면제해 주고, 고종은 북한산 중학사(重学寺) 주지 임세익(林世益)을 왕승(王僧)으로 삼고(高宗実錄․大東紀年), 또 예조로 하여금 홍월초(洪月初)를 승풍규정도총섭(僧風糾正都摠摂)으로 임명케 하여 승정(僧政)을 바로잡게 하였다. 이외에도 각 사찰에 공명첩(空名帖)과 같은 각종 특권을 부여하고 또 유능한 승려들을 뽑아 군수 등 지방관리에 다수 임명하는 등 이전과는 달리 불교보호로 선회하였다. 더욱이 대원군은 병인양요 이후 홍월초․이동인 등과 같은 고승들의 영향을 받아 심지어는 스스로 ‘유발승(有髪僧)’을 자처하며 불교에 호의를 보이더니, 마침내 당시로선 금령인 승려의 도성 출입을 특명하는가 하면 사찰에 대한 각종 수탈행위를 금지시키기도 하였다. 여기서 각 사찰은 경제적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었고, 따라서 법주사, 해인사, 동화사, 통도사, 석왕사 등 전국의 각 사찰은 오랜만에 대규모 보수공사를 활발하게 진행함과 함께 종래 선원․강원제도를 재정비하여 포교에 크게 임함으로써 조선 불교 게는 뒤늦게나마 자못 중흥을 기대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1875년 운양호사건이 일어나 조선봉건국가가 일본의 강압에 굴복, 강화도조약이라는 불평등 조약을 맺고(1876) 또 이어 유럽제국과도 굴욕적인 통상조약을 체결하여 문호를 개방하자 외래 열강 세력이 다투어 한국에 침투하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민족의 비운과 더불어 한국불교도 큰 시련에 직면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한국침략에 가장 철저하였던 일본이 그 침략의 방법을 정치․경제면에서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면에서도 치밀하게 강구하여 일본불교를 한국에 침투시켜 한민족을 정신적으로 예속화하려고 획책했기 때문이다. 일본이 1875년 이후 ‘일본거류민을 위한 불교포교’라는 구실로 부산 원산 인천 등 각지에 일본 각 종파의 승려를 대량으로 침투시켜 일본사원을 세우고 한국인을 신도로 포섭해갔음은 곧 이를 말해준다.

이러한 정세 속에서 큰 자극을 받은 한국불교계는 그 지도층 가운데서 일본불교의 한국침투에 분개하여 이를 적극 반대하고 재래의 포교방식을 지켜 민족 고유의 불교전통을 이어갈 것을 주장하는 보수파가 생기고, 또 한편으로는 재래적인 한국불교를 비판하고 일본의 발전된 포교방식을 취하여 한국불교를 혁신 근대화하자는 개혁파가 일어나 서로 갈등을 빚는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는 가운데 1894년 농민들에 의한 동학혁명이 일어나고 곧 일제의 강압에 의하여 갑오경장이 실시된다. 이어 1895년에는 일본의 일련종 승려 佐野前励가 김홍집 내각에게 조선승려의 도성 출입의 자유를 법적으로 공식 공포해줄 것을 건의, 마침내 고종이 이를 윤허함으로써 한국불교계는 차츰 기형적이나마 근대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런 조치들은 정부가 민족을 외면하고 외세에 굴복한데서 이루어진 결과로, 그것은 오히려 한국에서의 일본불교의 손쉬운 포교활동을 인정한 결과가 되어 1897년에 이르러서는 일본사원이 전국 각지에 세워지고 또한 일본승려들이 물밀듯이 이 땅으로 건너왔다. 이는 우리민족이 일본의 종교를 앞세운 사상적 침략 앞에 또 한번 무력하게 노출되고 만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같은 현실에 대해 한국불교 지도자들 사이에서는 큰 반성과 함께 새로운 자각이 싹트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종래 불교의 존재방식에서 탈피, 산간으로부터 차츰 대중사회에 관심을 기울여 활발한 포교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한국불교의 역량집결을 위해 전국 사원의 통일적 체제를 도모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899년(광무3년) 동대문 밖 지금의 창신국민학교 터에 원흥사(元興寺)를 세워 국내 수사찰(首寺刹) 즉 한국불교의 총종무소로 삼고 13도에 각각 하나씩의 수사(首寺)를 두어 전국 사찰의 행정을 총괄하였다. 이와 함께 체계적인 교단행정과 통솔을 위해 전국승려의 총대표자로서 도섭리(都摂理) 1인과 서울 부근 사찰의 총독자로서 내산섭리(内山摂理) 1인을 두고, 각도의 首寺에도 1인씩의 섭리를 두어 도내 사찰의 행정을 맡게 하였다.

한편 이 같은 사찰통일의 취지를 관철하기 위해 정부에 대해서는 편곡된 불교정책을 비판하고 사찰재산의 보호를 강력하게 요청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도 불교의 사회적 존재의의를 크게 인식하여 1900년(광무6년) 궁내부 안에 사사관리서(寺社管理署)를 설치하고, 36개조의 사사관리세칙(사찰령)을 공포, 전국사찰에 관한 국가적 관리에 나서게 된다. 그런데 이 관리서 설치와 함께 전국의 사찰은 大法山․中法山제도로 재편성되었던 바, 대법산은 국내 수사찰 1개소, 중법산은 도내 수사찰 l6개소를 말한다. 사찰령에 의해 이 때 지정된 대법산 및 중법산은 다음과 같다.

대법산 원흥사(서울)

중법산 봉은사(광주), 봉선사(양주), 용주사(수원), 마곡사(공주), 속리사(보은), 송광사(순천), 금산사(김제), 해인사(합천), 통도사(양산), 동화사(대구), 월정사(강릉), 유점사(고성), 석왕사(안변), 귀주사(함흥), 보현사(영변), 신광사(해주)

이 가운데 대법산으로 지정된 위 원홍사의 창건연대에 대해서는 광무 3년설과 6년설이 있기는 하지만, 어쨌든 이 절의 창건은 한국불교사상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원흥사가 국내 수사찰로서 전국의 불교를 정․교 양면에서 지도하여 사원조직을 강화함은 물론 대장경의 인쇄 및 사원교육제도 등을 크게 개혁하여 사회에 적극 기여함으로써 명실공히 불교근대화 기획의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였기 때문이다,

뒷날 명진학교의 개교는 더욱 진전된 한국불교근대화의 초석을 놓는 첫 작업이었다. 따라서 이 원홍사의 창건과 그 역할에서, 우리는 이미 명진학교의 여명을 감지해볼 수가 있다.

 | 목차 |
 

| 월간정각도량 | 편집자에게 | 편집후기 |
Copyright 200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